간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채징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채징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4년 후손 충석(忠錫)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종한(金宗漢)의 서문과 권말에 충석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08수, 만사 15수, 권2에 서(書) 26편, 권3에 기 4편, 전(傳) 1편, 상량문 1편, 봉안문 1편, 제문 8편, 명 2편, 잠 1편, 사(辭) 1편, 행장 1편, 잡저 12편, 권4는 부록으로 만장 35수, 애사 1편, 제문 15편, 행장, 기, 봉안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중 「정존음(靜存吟)」과 「동찰음(動察吟)」은 성정의 미발(未發)과 이발(已發)을 설명한 것으로, 본원인 경(敬)을 함양하고 칠정(七情)이 발생하였을 때는 중용에 맞게 성찰하여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도 조심해야 한다고 술회했다. 서(書) 중 성중거(成仲擧)에 보낸 여러 편 중에서는 심(心)의 동정(動靜), 체용(體用)에 대하여 설명했다.

잡저 중 「증남생종태(贈南生宗泰)」는 관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 것이고, 「변무소통문(卞誣疏通文)」은 김장생(金長生)을 문묘에 종사하게 할 때 그의 학문과 업적을 변론한 것이다. 이밖에 스승인 권상하(權尙夏)와 장상제(葬喪祭)의 가례에 대하여 문답한 내용이 있다.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