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시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시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9권 4책. 목판본. 1929년 최운성(崔雲聲)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이인식(李寅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20수, 권3·4에 소 1편, 서(書) 113편, 권5에 잡저 4편, 서(序) 12편, 기 9편, 권6에 발 8편, 잠 2편, 명 4편, 찬(贊) 1편, 상량문 2편, 고유문 1편, 제문 20편, 애사 4편, 권7에 뇌문(誄文) 3편, 묘지명 6편, 묘갈명 5편, 묘표 1편, 권8에 행장 4편, 유사 7편, 권9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묘지명·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증여시와 만사가 대부분이고, 선유들의 차운시도 많다. 서(書) 중 「상지헌최선생(上止軒崔先生)」은 『중용』의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에 대하여 질의한 것이다. 「답우해찬(答禹海纘)」은 『태극도설(大極圖說)』을 받아보고 태극의 동정(動靜), 미발지체(未發之體), 성발위정(性發爲情)에 대하여 답변한 내용이다.

잠의 「알인욕잠(遏人慾箴)」에서는 성(性)이 형기로 발동하여 외부로 표현될 때 인욕이 생기므로 이의 중절이 필요하다는 인심유위(人心惟危)를 강조하였다. 명에는 「자기명(自欺銘)」·「수구명(守口銘)」·「방의명(防意銘)」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