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천일환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흉막염 증세와 같은 담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흉막염 증세와 같은 담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상한(傷寒) 열성병(熱性病)이 오래되어 변증(變症)이 되면 가슴에서 가래가 끓고 아프며 명치 밑이 답답하고 또 단단하여 물도 마시면 식도로 넘어가지 않고 토해내는 증세이다. 이를 수결흉(水結胸)이라고 하며, 매우 급하고 중한 증세이다. 이는 소양인 특유의 병증이며 가슴에 열화가 있어 담이 맺혀 있는 것이다.

이 처방은 감수(甘遂) 3.75g, 경분(輕粉) 0.375g으로 구성되었으며, 감수는 담을 삭히고 이뇨작용을 하며, 경분은 살충·치담(治痰)을 하므로 담을 없애는 작용을 한다.

경분의 약력은 0.375g이면 족하고 감수의 약력은 0.55g이면 족하며 경분·감수는 모두 독성이 있기 때문에 비록 적은 분량이라도 정확히 정량을 사용하여야 하며 병의 경중에 따라 용약(用藥)을 조절해야 한다. 머리속에 화기가 있으면 경분을 위주로 하고 흉격(胸隔)에 담이 있으면 감수를 위주로 처방해야 한다.

소양인의 담(痰)을 치료하는 처방은 여러 가지가 있어 감수 3.75g, 경분 2.00g으로 환약을 만들면 경분감수용호단(輕粉甘遂龍虎丹), 경분·감수를 같은 비율로 환약을 만들면 경분감수자웅단(輕粉甘遂雌雄丹), 경분 3.75g, 유향(乳香)·몰약(沒藥)·감수를 각 2.00g을 20개로 환약을 만들면 유향몰약경분환(乳香沒藥輕粉丸)이라 한다.

감수는 반드시 수치(修治)를 해서 써야 한다. 수치법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감수말(甘遂末)을 싸서 불에 굽는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상의학원론(四象醫學原論)』(홍순용·이을호, 행림출판사,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