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2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병자호란을 겪은 지 50여 년이 지난 당시 북쪽 오랑캐의 재침 징조가 농후해지자 요충지인 강화도의 수어방략(守禦方略)에 중점을 두어 숙종에게 올리려는 목적으로 저술된 책이다.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권은 서(序)·폭원(幅員)·연혁·성씨·민호·관원·명환(名宦)·낭청(郎廳)·차제(差除)·구근(久勤)·방리(坊里)·산악·해도(海島)·천포(川浦)·고적·사단(祠壇)·봉수·토산·인물·풍속·충신·효자·열녀·장교(將校)·군병·관속·속읍·진보(鎭堡)·형승(形勝)·파수(把守)·성곽·돈황(墩隍)·진도(津渡)·선박·궁궐·영전(影殿)·사각(史閣)·향교·사우(祠宇)·능묘·불우(佛宇)·누관(樓觀)·공해(公廨)·창고·군향(軍餉)·군기(軍器)·내탕(內帑)·제궁(諸宮)·각사(各司)·교량·제언·천정(泉井)·풍우(風雨)·전답·목장·둔전(屯田)·부역·요록(料祿)·시재(試才)·적거(謫居)·축물(畜物)·제영(題詠)·정요(政要)·총론(摠論)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하권은 여조천도기(麗朝遷都記)·임진영담(壬辰零談)·정묘록(丁卯錄)·병정록(丙丁錄)·임장군전(林將軍傳)·일본국지(日本國志)·여진국지(女眞國志)·몽고국지(蒙古國志) 등으로 정치·경제·역사·지리·사회 등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마지막에 결론이 있다. 특히, 당시의 군비와 국방책이 세밀히 기록되어 있어 병력·진보·군향·무기·탄약 등의 정확한 숫자를 파악할 수 있다.
기술 방식은 각 조마다 현황을 기록하고 그 다음에는 사목(事目)을 설정하여 관제를 기록함으로써 현황과 비교할 수 있는 자료를 실어 놓았다. 사목 다음에는 ㅇ표를 한 뒤 저자 자신의 의견을 상세히 개진하였다.
이러한 서술 양식은 임금에게 상달할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이며, 따라서 강화의 방어 방략이 종횡무진으로 전개되어 있다. 이 책은 가장 오래되고 가장 방대한 강화 읍지로서 큰 의의를 지닐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체재상 일반 읍지에 비교할 수 없는 상세함과 정확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많은 통계 숫자를 기록하는 등 객관적 사실의 기재에 노력하였으며, 저자 자신의 독창적인 의견과 소신을 폭넓게 수록하고 있다. 1978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지금의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견, 공개하면서 알려졌고 『병와전서(甁窩全書)』의 일부로 영인,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