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지도가 붙은 사본. 표지에는 '咸鏡北道鏡城郡邑誌(함경북도경성군읍지)'로 되어 있다.
종래 전해오던 경성의 읍지를 참고하고 갑오(甲午)·을미(乙未) 개혁 후 지방행정에서 변경된 내용을 읍지 기록 순서에 따라서 ‘원(原)’·‘증(增)’·‘보(補)’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내용구성은 강계(疆界)·분야(分野)·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곽(城廓)·관우(館宇)·단묘(壇廟)·학교(學校)·산천(山川)·해진(海津)·교량(橋梁)·토산(土産)·병영관안(兵營官案)·도순문찰리사(都巡問察理使)·도절제사(都節制使)·안무사(按撫使)·관찰사(觀察使)·문관(文官)·음사(蔭仕)·무관(武官)·생진(生進)·충의(忠義)·효행(孝行)·정렬(貞烈)·향현(鄕賢)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관북읍지≫와 비교하여 관방(關防)·봉수(烽燧)·향사(鄕社)·불우(佛宇)·고적(古蹟)·성씨(姓氏)·풍속(風俗)·군적(軍籍)·역원(驛院)·발참(撥站)·사단(祠壇)·호구(戶口)·전부(田賦)·창고(倉庫)·장시(場市)·적안(糴案)·공안(貢案)·진상(進上)·약재(藥材)·봉름(俸廩)·제영(題詠)·사례(事例) 등의 조항이 빠졌으나 비교적 잘 꾸며졌다.
즉, 기록의 선후를 가리기 위하여 원·증·보의 약어(略語)를 썼고, 또 용어해설을 붙인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해진·산천조에 “진(津)은 바다에서 배를 댈만한 곳이다.”라고 한 것과 “슬해(瑟海)는 바다에 쌓인 모래가 해마다 그 위치를 옮겨서 그 심천(深淺)의 차이가 매우 심한, 특수한 바다이다.”라고 한 것 등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밖에 ≪북관지 北關誌≫(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와 ≪관북읍지≫(규장각도서) 등에 일부로 수록된 것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