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 ()

목차
관련 정보
경기지
경기지
인문지리
문헌
경기 33개 군현과 영종진의 읍지를 합편한 지방지.
목차
정의
경기 33개 군현과 영종진의 읍지를 합편한 지방지.
내용

4책. 필사본. 경기 33개 군현과 영종진(永宗鎭)의 읍지를 합편한 경기도에 관한 가장 오래된 도지이다. 읍지의 편찬 시기는, 교동·음죽·죽산·통진·진위 등 5읍지의 제목과 책 끝에 ‘도광(道光) 22년 6월 일∼23년 정월 일’로 표기된 점으로 보아 1842년(헌종 8)에서 1843년 초임을 알 수 있다. 수록된 읍지의 체재나 내용이 다양한 것으로 보아 각 읍에서 개별적으로 작성한 읍지를 감영에서 합책한 것으로 생각된다.

각 책별로 수록된 읍은 제1책에 양주·여주·파주·교동(喬桐)·장단·부평·인천, 제2책에 죽산(竹山)·남양(南陽)·통진(通津)·이천·고양·안산(安山)·마전(麻田)·안성·가평·김포, 제3책에 양지(陽智)·포천·적성(積城)·연천·지평(砥平)·과천·음죽(陰竹)·영종(永宗), 제4책에 양근(楊根)·삭녕(朔寧)·교하(交河)·영평(永平)·양천(陽川)·진위(振威)·용인·시흥·양성(陽城) 등이다.

각 읍지의 체재는 각 읍마다 첫머리에 채색지도가 붙어 있는 것 외에는 통상의 읍지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항목 배열 순서는 각 군 읍지마다 상이하다.

제1책의 양주목의 예를 보면 사계(四界)·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씨(姓氏)·산천(山川)·제언(堤堰)·토산(土産)·봉수(烽燧)·궁전(宮殿)·학교(學校)·서원(書院)·역원(驛院)·발참(撥站)·목장(牧場)·면리(面里)·불우(佛宇)·사묘(祠廟)·능묘(陵墓)·고적(古蹟)·명환(名宦)·인물(人物)·제영(題詠)·진공(進貢)·장시(場市)·교량(橋梁)·민호(民戶)·전부(田賦)·군액(軍額)·조적(糶糴)·공해(公廨)·관방(關防)·형승(形勝)의 순서로 되어 있다.

다른 군의 읍지 구성도 이와 비슷한데 몇 가지 누락되기도 하고 선생안(先生案)·책판(冊板) 등이 추가된 경우도 있다. 같은 항목이라 하더라도 읍지마다 그 상세함과 소략함에 현격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같은 민호조에서 군 전체의 군총(郡摠)만 밝혀 놓은 경우가 있는가 하면, 면별 또는 동리별 호총(戶摠)을 밝힌 경우도 있다.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여지도서 輿地圖書≫와 비교해 보면 이 책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 ≪여지도서≫가 사회·경제 관계에 중점을 두었음에 비하여 이 책은 문화 관계 내용이 대폭 증대되었다. 제영조를 신설하여 시·문 등을 기록하고 인물조를 세분하여 수록 인물을 늘렸으며, 과거조·읍선생안조를 신설하기도 하였고 명현묘(名賢墓)가 기록되기도 하는 등 인문·문화 관계 기사가 많이 보충되었다.

여주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전의 읍지를 참고하더라도 이전 읍지 편찬 이후의 변화 내용을 대개 반영하고 있다. 특히, 경자식(庚子式 : 1840년) 호적에 의하여 호구를 기록한 읍이 많고, 결총(結摠)에서 ‘신축(辛丑 : 1841년) 실기(實起)’라 하여 당시 실정을 반영하고 있는 읍들도 있다. 또한, 제언의 변화 상황, 지방 관직 체계의 변화, 1830년대의 인물 등을 수록하였다.

이로써 이 책이 이전의 읍지를 무분별하게 베낀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작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19세기 중엽 경기 전역의 읍 사정을 살필 수 있는 자료라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이후에 편찬되는 각 개별 군현지와 도 단위 지리지들의 저본으로서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 1871년(고종 8) 편찬된 ≪경기읍지 京畿邑誌≫(6책)와 1895년에 편찬된 ≪기전읍지 畿甸邑誌≫(3책) 등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경기지≫를 비롯한 경기도지들은 1985년 아세아문화사에서 ≪한국지리지총서≫ 중 경기도편으로 영인되었다.

참고문헌

『경기읍지』
『기전읍지』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양보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