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 후 근대적 교육의 전개와 함께 교육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전통적 교육기관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으나, 사설교육기관인 서당은 계속 유지되어 일반대중의 초등교육을 담당해왔다. 당시의 서당은 조선시대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재래서당과 시대변천에 적응하여 성격을 달리한 개량서당으로 나눌 수 있다.
1908년 일제의 통감부는 <서당관리에 관한 건>을 반포하여 서당의 시설을 개량하여 실용하게 할 것과, 교수방법·교수시간·교육내용 등에 대한 개선을 촉구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 민족의 교육향상을 위한 개선이 아니라, 일본어 보급을 위한 것으로 개량이란 명목 아래 민족교육을 약화시키는 한편, 부족한 초등교육기관을 메우기 위한 방편에 불과하였다.
국권상실 이후에도 일제는 애국계몽운동에 적극적이었던 민족사학에 대해서는 심하게 탄압하였으나, 서당에 대하여는 비교적 온건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재래의 서당을 개량하여 근대적 초등교육기관으로 활용하여야 한다는 논의는 1910년대를 전후하여 제기되었는데, 1920년대에 들어와 교육열의 고조로 더욱 활발해졌다.
이러한 서당개량론의 공통점은 당시의 초등교육기관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당을 정규초등기관에 준할 수 있도록 성격·교육내용·운영방법 등을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농촌에서는 더욱 절실한 문제로서 민중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뜻있는 한국인들의 노력으로 계속 추진되었다. 당시 천도교가 앞장서서 대중교육을 위한 개량서당의 교사(校舍)·교사(敎師)·학생·교과목 등에 관하여 제시한 내용을 보면, 교사(校舍)는 종래의 서당을 50∼60명씩 수용할 수 있도록 수리해야 하며, 교사(敎師)는 한문교육 위주의 완고한 인물로 하지 말고, 국어·역사·산술 등 세계정세와 시대의 흐름을 알고 있는 인물 즉, 신구(新舊) 학문을 겸하여 알고 있는 인물로 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교수법도 개선하여 단체로 몇 시간씩 즐겁게 뛰놀게 해야 하고, 교과목은 천자문·무제시(無題詩)·사략·고문(古文)·사서삼경·국어·산술·일본어·지리·역사 등을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다.
당시의 개량서당은 재래서당을 개량하여 설립하는 경우와 새로이 설립하는 경우의 두 가지가 있었다. 새로 설립하는 경우, 처음에는 사립학교나 사설 학술강습소(學術講習所)를 설립하려다 일제의 탄압책으로 인가받지 못해 계획을 바꾸어 개량서당을 설립하는 경우도 있었고, 처음부터 개량서당을 설립하는 경우도 있었다. 재래서당을 개량서당으로 개조한 경우에는 2, 3개 또는 3, 4개를 병합하여 하나의 개량서당을 만들기도 하였다.
개량서당은 근대교육의 교과를 사용하고 교원도 신교육을 받은 사람을 채용하여, 정규 학교를 대신해 신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민족교육의 장으로서의 구실을 담당하였다.
당시 민족교육의 온상이었던 사립학교 등에 대한 탄압이 가중되자, 비정규 교육기관인 서당·야학·강습회 등을 통하여 그 세력이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서당의 수가 점차 증가하게 되었는데, 일제는 1918년에 <서당규칙>을 제정하여 서당에 대한 지금까지의 방침을 바꾸어 통제를 가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보수성을 지닌 재래서당에 대하여는 계속 온건책을 쓰면서 주로 개량서당에 대해서만 탄압하였다. 1929년에는 <서당규칙>을 개정하였는데, 서당의 설립을 도지사인가제로 하여 설립을 어렵게 만들었으며, 기존 서당을 폐쇄하는 등 탄압을 더욱 강화하였다. 따라서, 1930년대 이후 서당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서당을 간이학교(簡易學校)로 개편하여 식민지 초등교육기관화하였다.
이 때에도 일제는 획일적인 서당정책을 실시하지 않고 민족주의적 색채가 있거나 식민지통치정책에 방해가 되는 서당에는 탄압을 하는 한편, 그 밖의 서당에 대해서는 교육내용의 개선, 서당교사에 대한 강습 등으로 식민지교육을 주입시킴은 물론 경비를 지원하여 초등교육기관으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일제 말기의 서당은 대부분 간이학교로 개편, 흡수되거나 식민지교육기관으로 성격이 바뀌게 되었다.
일제 중반까지의 이들 개량서당은 근대교육시설이 부족하고 의무교육이 실시되지 못하던 시대에 근대적 초등교육을 실시하여 교육의 저변확대와 문맹퇴치에 큰 구실을 하였으며, 민족의식의 고양과 애국계몽운동 실시에도 일익을 담당하였다. →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