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

구비문학
작품
거울을 처음 보고 놀라서 어리석은 행동을 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민담.
이칭
이칭
불식경설화(不識鏡說話), 부처송경설화(夫妻訟鏡說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은 거울을 처음 보고 놀라서 어리석은 행동을 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민담이다. 이 이야기에서 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은 부인·남편·시부모님·원님 등이고, 모두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처음 보고 놀라서 어리석은 행동을 한다. 「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은 전국적으로 다양한 변이를 보이며 분포되어 있고, 중국 · 일본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도 전승되는 광포설화이다.

정의
거울을 처음 보고 놀라서 어리석은 행동을 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민담.
전승과 채록

불식경설화(不識鏡說話) · 부처송경설화(夫妻訟鏡說話)라고도 불린다. 문헌 설화(文獻說話)는 홍만종(洪萬宗, 1643~1725)『명엽지해(蓂葉志諧)』에 「부처송경」이 있고, 구전 설화(口傳說話)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변이를 보이며 분포되어 있다.

내용

산골에 사는 한 여자가 서울 시장에 보름달과 같이 생긴 둥근 청동 거울이 있다는 말을 듣고, 그 거울을 한번 보기를 원하였으나 기회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의 남편이 서울에 가게 되었는데, 마침 그때가 보름이었다. 그녀는 거울이란 말을 몰라서, 남편에게 서울에 가서 저 달처럼 생긴 물건을 사 오라고 하였다. 그런데 남편이 서울에 도착하여 달을 보니 반달이 되었다. 그러므로 서울에 도착한 남편은 반달을 보고, 아내(그녀)가 원한 것이 빗인 줄 알고 빗을 사서 집으로 돌아갔다. 아내는 남편에게 보름달을 가리키며 자신이 원한 것이 빗이 아니라고 하자, 그는 서울의 달과 시골의 달의 다름이 괴이하다고 하였다.

그 후 남편이 다시 서울에 가서 거울을 사 왔다. 아내가 거울을 보자 거울 속에 여자가 있었다. 평소 거울로 자기 얼굴을 본 적이 없던 아내는 남편이 다른 여인을 데려온 것으로 오해하고 화를 내었다. 남편이 거울 속을 보니 웬 남자가 있으므로, 남편은 아내가 다른 사나이를 원하였던 것으로 알고 분노하였다. 그 일로 부부는 서로 다투다가 끝내 관가(官家)에 가서 송사했다. 그런데 원님이 그 거울을 들여다보니, 거울 속에는 관복을 입고 위엄을 갖춘 관원(官員)이 있었다. 원님은 그것을 보고 새로운 관리가 부임한 것으로 알고 놀랐다.

설화(說話)는 각편에 따라 서사의 여러 구성 요소에서 변이 양상을 보인다. 남편이 거울을 사 오게 된 동기는 아내의 요구에 의한 경우와 과거를 보러 갔던 남편의 자의(自意)인 경우 등으로 나타나는데, 예외적으로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어느 아들에게 누군가 선물하는 경우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거울을 보고 놀라는 인물은 부인 · 남편 · 시어머니 · 시아버지 · 원님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결말 부분은 부부가 서로 다투다가 거울을 깨뜨리는 경우와 관가에 거울을 가지고 송사하러 가는 경우 등으로 나타난다.

의의와 평가

이 설화는 불전 설화(佛典說話)에 근원을 두고 있다. 중국 후한의 한단순(邯鄲淳, 132~220년으로 추정)이 편찬한 『소림(笑林)』에 동일한 구조를 지닌 이야기가 실려 있다. 이와 동일한 유형의 이야기로는 인도 승려 구나브리티[求那毘地]가 한자로 번역한 불경 우화집(寓話集) 『백유경(百喩經)』 권2에 수록된 「보협경유(寶篋鏡喩)」 이야기, 중국 승려 도략이 엮은 『잡비유경(雜譬喩經)』 권하(卷下)에 수록된 이야기가 있다. 『백유경』의 「보협경유」 이야기는 빚에 쪼들리다 도망치던 사람이 보물 상자를 발견하였으나, 거울로 된 뚜껑에 비친 자기 얼굴을 보고 놀라서 보물 상자를 버리고 달아난다는 내용이다. 『잡비유경』 수록 이야기는 술독에 비친 각자의 얼굴을 보고 서로 다투다가 술독을 깨뜨린다는 내용이다.

이 설화와 직접적인 관계를 보이는 외국의 설화로는, 청나라 때의 설화집 『소부(笑府)』에 실린 「오류설화(誤謬說話)」와 일본의 「송산경설화(松山鏡說話)」 등이 있다. 아내가 남편에게 초승달 모양의 빗을 사 오라고 하였으나, 보름이 되었으므로 남편이 그 말을 잊고 거울을 사 오고, 그 거울에 비친 얼굴들로 인하여 부부간에 소송이 일어난다는 내용이다. 이들은 중국 · 일본 등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전승되는 변이 형태들이다.

이 설화는 거울에 비친 가족들의 얼굴 인식의 방법을 통하여, 가상과 실상의 혼란에 빠진 존재의 어리석음 및 그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진리를 인식하는 과정과 지혜를 보여 준다. 그리고 그런 의미가 소화적(笑話的) 기법에 의하여 전개된다는 점에서 문학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명엽지해(蓂葉志諧)』(홍만종)
손진태, 『조선민담집』(동경: 향토연구사, 1930)
임동권, 『한국의 민담』(서문당, 1972)
임석재, 『임석재 전집 한국구전설화 2』(평민사, 1988)
임석재, 『임석재 전집 한국구전설화 3』(평민사, 1988)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단행본

손진태,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을유문화사, 1947)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국립민속박물관, 2013)

인터넷 자료

국립중앙도서관(nl.go.kr)
집필자
박현숙(건국대학교 강사, 구비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