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에 관한 인물 전설.
내용 요약

「도선 설화」는 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에 관한 인물 전설이다. 풍수지리에 능통하였던 이인(異人) 도선에 관한 설화는 구전 자료와 문헌 자료 모두 풍부하게 전해진다. 이 설화는 크게 출생담 · 행적담 · 입적담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문헌 설화는 도선의 고승적인 면모가 부각되고, 구전 설화는 이인적인 면모가 부각된다. 「도선 설화」는 비범한 탄생, 기아, 수학, 이례적인 죽음에 이르기까지 신화에서부터 후대의 고대 소설에까지 반복되어 나타나는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지녀 영웅 서사 문학의 정통적 맥을 잇고 있다.

정의
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에 관한 인물 전설.
전승과 채록

풍수지리에 능통하였던 주1 도선(道詵)에 관한 인물전설로, 문헌 설화와 구전 설화 모두 자료가 풍부하다.

문헌 설화는 「옥룡사비문(玉龍寺碑文)」 · 『도선국사실록(道詵國師實錄)』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도갑사비문(道岬寺碑文)」 등에 실려 있으며, 구전 설화는 도선의 출생지인 전라남도 영암을 비롯하여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문헌 설화는 대체로 도선의 전기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있다. 구전 설화의 주2은 다채로운 내용들로 이루어져, 문헌 설화가 미처 포괄하지 못한 도선에 대한 다양한 면을 담고 있다. 「옥룡사비문」을 제외한 다른 자료들은 구전 설화를 토대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문헌과 구전 자료의 내용이 상당 부분 일치한다. 「도선 설화」의 일부 문헌 설화에서는 도선의 고승적인 면모보다는 명풍수로서의 행적이 두드러지고, 도선이 풍수설을 익히고 시행하는 과정의 일화들도 이루어져 있다.

내용

「도선 설화」는 크게 출생담 · 행적담 · 주3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출생담은 「옥룡사비문」을 제외하면 대체로 내용이 유사하다. 도선의 어머니가 빨래터에 떠내려 온(또는 뜰 안에 열린) 오이를 먹고 아이를 잉태하고 출산 후 아이를 내다 버렸다가, 새가 와서 아이를 보호하는 것을 발견하고 다시 데려와 길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행적담은 여러 세부 유형이 있다. 첫째, 풍수설의 수학 경위는 각편에 따라서 당나라에 가서 승려 주5에게서 배웠다는 내용, 지리산 도인에게 비법을 전수 받았다는 내용, 여우 여인에게서 구슬을 얻은 뒤 지리에 통달하였다는 내용 등이 있다. 둘째, 중국에서 일행에게 풍수설을 배운 도선이 귀국할 때 일행이 시킨 대로 조선 산세의 혈을 자르다가 일행의 주6를 알고는 도리어 조선의 요지에 방아를 놓고 찧어서 중국의 인물들에게 해를 끼치는 ‘방아 찧기’ 주7가 있다. 이때 중국에서는 도선을 잡아가거나, 도선과 타협하여 산세를 이어 주고 방아를 철거한다. 한편, 구전 설화에 반영된 행적담은 더욱 다양하고 풍부하다. 구전 설화에서 도선은 전국을 다니면서 주8 인물에게 명당을 잡아 주거나, 명당을 아무에게 함부로 잡아 주어 산신령에게 혼이 나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도선의 비범성이 부각되기도 하고, 그의 능력의 한계와 인간적 실수를 드러내는 등 도선에 관한 다양한 인식이 담겨 있다.

도선의 입적담은 방아 찧기로 중국에 항거하였기 때문에 중국에 잡혀가서 죽었다는 내용, 중국에서 그를 잡으러 왔을 때 자기 주9을 벗어 던지고 “이 바위가 희면 내가 살아 있는 줄 알고, 검어지면 죽은 줄 알라.” 하고는 사라졌다는 내용 등 내용이 다양하다. 바위가 아직도 희기 때문에 도선이 살아 있을 것으로 믿는다는 각편도 있다. 입적담은 문헌과 구비 전승 자료에 차이가 있는데, 문헌 설화에서는 도선의 고승다운 면모를 부각시키는 데 반해 구전 설화에서는 ‘도선이 바위’라는 구체적인 증거물을 통해 도선의 죽음에 관한 결론을 보류하여 도선의 이인적 면모를 부각시킨다.

의의 및 평가

「도선 설화」는 비범한 탄생과 주11, 그리고 수학(修學), 이례적인 죽음에 이르기까지 신화에서부터 후대의 고대 소설에까지 반복되어 나타나는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지녀 영웅 서사 문학의 정통적 맥을 잇고 있다. 또한, 지역 축제 중심 인물의 영웅 서사화 과정에 차용되는 등 새로운 지역 설화 생성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도선 설화」에 도선의 이인적인 비범성, 인간적 약점까지 노출시키는 등의 변이는 설화 향유층의 등장 인물에 대한 다각적인 시선 개입으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 음택 주10의 유행과 명풍수 추앙 현상은 「도선 설화」의 다양한 변이 요소를 만들어 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영암지도갑사사적(靈巖地道岬寺事蹟)』
朝鮮總督府 編, 『朝鮮寺刹史料』(寶蓮閣, 1980)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구전설화: 임석재전집』(평민사, 1989∼1993)

논문

김현숙, 「도선설화 연구」(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이준곤, 「도선전설의 연구」(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주석
주1

재주가 신통하고 비범한 사람. 우리말샘

주2

구연자가 구연한 구비문학 작품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말. (한국민속백과)

주3

입적(入寂): 승려가 죽음. 우리말샘

주5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683~727). 선무외로부터 밀교를 배우고, ≪대일경소≫를 찬술하여 밀교의 기초를 닦았으며, 천문역수에도 통달하여 ≪대연력≫ 52권을 지었다. 우리말샘

주6

흉악한 계략. 우리말샘

주7

어떤 이야기나 사건의 줄거리에 끼인 짤막한 토막 이야기. 우리말샘

주8

착한 일을 많이 하다. 우리말샘

주9

윗도리에 입는 홑옷. 모양은 저고리와 같다. 우리말샘

주10

음택 풍수(陰宅風水): 묏자리의 길흉을 점쳐 판단하는 풍수. 우리말샘

주11

길러야 할 의무가 있는 사람이 남몰래 아이를 내다 버림. 또는 그렇게 버린 아이. 우리말샘

집필자
박현숙(건국대학교 강사,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