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說話)에서 막내의 성공은 마치 설화의 서사 구성 법칙처럼 여겨져, 매우 많은 수의 「말자 성공 설화」가 전승되고, 서사 내용도 매우 다양하다. 이 설화는 성공한 인물로 나오는 막내가 가족 관계에서 지니는 자격을 기준으로 막내아들 · 막내딸 · 막냇사위 · 막내며느리 성공담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막내아들 성공담 중에 형제 설화에서 선악이 대립할 때 일반적으로 형은 악인이며 동생은 선인으로 나타난다. 『흥부전(興夫傳)』에 등장하는 놀부와 흥부가 대표적인 예이다. 「도깨비방망이 설화」에서도 동생은 산에서 개암을 주워 가족 먼저 챙긴 뒤 맨 마지막 것을 먹으려 하였고, 그 결과 도깨비방망이를 얻어 부자가 되었다. 그러나 형은 자기 몫의 개암만 챙기며 동생을 모방하기만 하다가, 도깨비들에게 매만 맞고 돌아왔다.
등장인물이 3형제면 맏형과 둘째 형은 실패하지만 셋째는 성공한다.
「초분에서 만난 공주」는 셋째 막내아들의 성공담이다. 셋째 막내아들이 아버지의 시신을 우물 명당(明堂)에 묻었다가 탄로(綻露)가 나서 다시 물을 뿜어 내는 우물로 인해 시련을 겪고, 길을 떠났다가 초분(草墳)에서 만난 갓 죽은 처녀와 부부가 된 뒤에 성공한다는 내용이다. 「세상 물정 공부하고 고향 찾은 막내아들」에서는 부모가 세상 물정(物情)을 공부하고 오라고 내보낸 아들 형제 중 막내만 지혜롭게 성공한다. 「복 타러 간 셋째 아들」에서는 가난 때문에 형들은 아버지의 환갑잔치를 포기하지만, 막내가 하늘의 복을 따다가 잔치를 열어준다.
막내아들은 다른 형제보다 능력이 출중(出衆)하여 형들이 실패한 과제에 성공해 낸다. 막내의 출중한 능력으로 개인 혹은 집안 문제를 해결하는 서사의 맥은 신화(神話)로부터 이어져 온다. 제주도 신화 「문전본풀이」가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 아들 중 막내인 녹디생인이 어머니를 살해하고 어머니 행세를 하는 여인의 정체를 밝혀내고 죽은 어머니를 살려내 위기의 가정을 재건하여 문전신(門前神)이 된다.
형제의 갈등 속에서 형들의 구박을 받는 막내아들의 성공담도 있는데, 「꾀로 형의 재산 얻어 부자 된 막내」 · 「가짜 풍수 노릇을 한 셋재 아들」 · 「돌아가신 아버지가 준 박씨와 잘살게 된 막내」 등이 이에 속한다.
막내아들 성공담은 성공의 범위가 개인의 행복에 있음은 물론이고 실패한 형제와 집안의 문제까지 해결한다는 특징이 있다.
‘막내딸 성공담’의 막내딸은 다른 자매보다 지혜롭고 주체적(主體的)이며 성공의 결과가 개인의 행복으로 귀결(歸結)되는 경향이 있다.
민담 「내복에 산다」가 대표적인 예이다. 「내복에 산다」의 막내딸은 누구 복으로 잘사느냐는 부모의 물음에, 부모덕에 잘 산다고 답한 두 언니와는 달리 자기 복으로 잘산다고 대답해서 쫓겨났다가 시련을 이기고 성공한다, 그리고 부녀간의 갈등도 해소한다. 「내복에 산다」는 제주도에서 「삼공본풀이」 신화로 전승된다. 신화는 민담과 내용이 동일하지만, 막내딸에게 감은장애기(가믄장애기)라는 이름이 주어지고, 훗날 인간의 운명을 관장하는 전상의 신이 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구렁덩덩 신선비」의 막내딸은 두 언니가 거절한 구렁이의 청혼을 수락하여 허물을 벗은 신 선비와 부부가 된다. 막내딸은 부부에게 주어진 금기(禁忌)를 어겨 남편을 되찾기까지 많은 시련을 겪지만 결국 남편과의 재결합에 성공한다. 「바리데기」의 일곱째 막내딸은 딸이라는 이유로 버려졌다가 서천서역국에서 생명수(生命水)를 구해와 부왕(父王)을 살린 뒤 망자(亡者)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신이 된다. 민담 「구렁덩덩 신선비」에서 막내딸의 남편 되찾기 탐색 과정과 「바리데기」에서 막내딸의 구약노정(救藥路程) 과정은 험난한 시련이었지만, 자기 스스로 선택하고 시련을 참고 이겨 내어 결국 과제를 수행해 냄으로써 성공을 이루게 된다.
가족 관계에서 새 식구인 막냇사위의 성공담은 「조진사의 막내사위」 · 「글 잘하는 막내사위」 · 「괄시받은 막내사위의 보복」 등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막냇사위는 가난하거나 미천(微賤)하거나 무식하다. 그런 이유에서 막냇사위는 처가 식구들에게 구박받지만, 지혜로써 동서(同壻)들과의 대결에서 승리하고 장인 · 장모의 신임(信任)을 받는다.
새 식구인 막내며느리의 성공담으로는 추한 외모로 시집 식구들에게 박대(薄待)받다가 기지(奇智)를 발휘하여 식구들의 신임을 받는 데 성공하는 「시아버지 사랑 받게 된 막내며느리」, 막내며느리가 동서들의 그릇된 행위를 고쳐 집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한 「막내며느리의 지혜」 · 「막내며느리의 효성과 금덩어리」, 돌아가신 아버지의 묫자리를 명당에 쓰고 난 뒤 세 아들이 연달아 죽는데 막내며느리가 들어와 세쌍둥이를 낳아 가문을 번창시킨 「고목생화설화(枯木生花說)」 · 「사자득손설화(死子得孫說話)」가 있다.
설화에서 셋째 혹은 막내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 ‘자녀’를 나타낸다. 가족 서열에서 자녀는 언제나 막내이므로, 막내가 첫째와 둘째를 넘어서는 것은 부모를 넘는다는 성장의 의미가 있다, 「말자 성공 설화」에서 막내가 성공하는 이유는 ‘나’를 대변하는 막내에 대한 전승자들의 지지와 응원의 심리가 작용하면서, 아울러 운명적으로 불리한 권익을 차지하게 되는 약자인 막내에 대한 동정의 심리가 작용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말자 성공담은 소설 · 드리마 등 현대의 창작물에서도 두루 활용된다. 창작물 속 막내는 순수하고 밝은 존재로 가족에게 위안을 주고 미래의 희망을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막내 캐릭터는 다양한 콘텐츠 속에서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치를 환기(喚起)하는 역할로 재창조되어 전통의 서사적 맥을 잇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