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암집 ()

목차
관련 정보
오여벌의 경암집 중 권수면
오여벌의 경암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오여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오여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34년 그의 후손 오응철(吳應澈)·오학성(吳學性)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의 서문과 권말에 권세연(權世淵)·김휘철(金輝轍)·송인옥(宋寅鈺)·조병규(趙昺奎), 8세손 오응철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사(辭) 2편, 시 17수, 서(書) 14편, 권2에 계(啓) 3편, 소 1편, 전(箋) 2편, 명 1편, 제문 1편, 축문 5편, 행장 3편, 서(序) 1편, 잡저 5편, 권3∼5에 잡저 4편, 유묵, 권6은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만사·제문·봉안문(奉安文)·유사·증유(贈遺)·기·상량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 「한중감음(閒中感吟)」은 우리나라의 도통연원(道統淵源)과 예악문물을 시가체로 읊은 것이며, 「중국역대」는 중국 역대의 흥망성쇠를 상고시대로부터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편년체로 읊은 것인데, 5,125자에 달하는 장편 가사이다.

잡저 중에 「유청량산록(遊淸凉山錄)」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청량산을 두루 구경하고 산수의 아름다움과 김생(金生)이 글씨 공부를 하던 김생굴(金生窟), 최치원(崔致遠)이 바둑을 두던 곳 등 고적을 소개한 기행록이다.

「도통연원도」는 중국의 요(堯)·순(舜)·우(禹)·탕(湯)·문(文)·무(武)·주공(周公)·공자(孔子)·자사(子思)·맹자(孟子)·주자(周子)·정자(程子)·주자(朱子)로부터 우리나라의 명현에 이르기까지 도통연원을 도식으로 그려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역괘도(易卦圖)」·「천지만물도」·「음양오행도」 등은 동양철학 연구에 유용한 자료이다.

「중국역대총론」은 중국의 사략(史略)을 저술한 것이며, 「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는 우리나라의 단군과 기자로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역대 임금들의 치란흥망에 대한 역사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특히, 상고사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