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백 ()

목차
관련 정보
계백 장군 영정
계백 장군 영정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때, 황산벌전투에 참전한 백제의 장수.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660년
내용 요약

계백은 삼국시대 백제의 황산벌전투에 참전한 장수이다. 660년 김유신과 소정방의 5만여 명의 나당 연합군이 요충지인 탄현과 백강으로 진격해오자, 결사대 5000명을 뽑아 황산벌에 나가 맞았다. 그는 전장에 나아가기에 앞서 처자를 모두 죽이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릴 것을 다짐했다. 결사대의 용맹은 연합군의 대군을 압도하여 처음 네 번의 싸움에서는 모두 승리를 거두었지만,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은 처자를 죽이고 절개를 지킨 그를 충절의 표본으로 여기고 부여 의열사, 연산 충곡서원에 제향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때, 황산벌전투에 참전한 백제의 장수.
개설

계백(堦伯)이라고도 표기한다. 관등은 달솔(達率)이다. 660년 김유신(金庾信)주2의 5만여 나 · 당 연합군이 백제의 요충지인 탄현(炭峴 : 지금의 大田 동쪽 馬道嶺)과 백강(白江)으로 진격해 오자, 결사대 5,000명을 뽑아 황산(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벌에 나가 맞이하였다.

그는 전장에 나아가기에 앞서 “한 나라의 힘으로 나 · 당의 큰 군대를 당하니 나라의 존망을 알 수 없다. 내 처자가 잡혀 노비가 될지도 모르니 살아서 욕보는 것이 흔쾌히 죽어 버리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하고는 처자를 모두 죽이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릴 것을 각오하였다. 또한, 병사들에게도 “옛날 월왕 주3은 5,000명으로 오왕 주4의 70만 대군을 무찔렀다. 오늘 마땅히 각자 주1해 승리를 거두어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라.”고 격려하였다. 그의 결사대는 험한 곳을 먼저 차지해 세 진영으로 나뉘어 연합군에 대항하였다.

목숨을 버릴 것을 맹세한 결사대 5,000명의 용맹은 연합군의 대군을 압도할 만하였다. 그리하여 처음 연합군과의 네 번에 걸친 싸움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반굴(盤屈) · 관창(官昌) 등 어린 화랑의 전사로 사기가 오른 연합군의 대군과 대적하기에는 그 수가 턱없이 부족하였다. 결국, 백제군은 패하고 계백은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계백의 이러한 생애는 후대인들의 높은 칭송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에게는 충절의 표본으로 여겨졌다.

한편, 권근(權近)은 계백이 출전하기에 앞서 처자를 모두 죽인 것이 오히려 군사들의 사기를 떨어뜨려 결국 패하는 결과를 낳게 한 것이며, 계백의 그러한 행동은 난폭하고 잔인무도한 것이라고 평하였다. 그러나 서거정(徐居正) 등은 계백의 행동을 높이 평가해 “당시 백제가 망하는 것은 필연적인 사실이기에 자신의 처자가 욕을 당하지 않도록 몸소 죽이고, 자신도 싸우다가 죽은 그 뜻과 절개를 높이 사야 한다.”고 하였다. 더구나, 백제가 망할 때 홀로 절개를 지킨 계백이야말로 옛 사람이 이른바 “나라와 더불어 죽는 자”라고 칭송하였다. 그 평가는 이후 조선시대 유학자들간에 그대로 계승되어 계백은 충절의 표본으로 여겨졌다. 그 뒤 계백은 부여의 의열사(義烈祠), 연산의 충곡서원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동국통감(東國通鑑)』
『동사강목(東史綱目)』
『전고대방(典故大方)』
「계백」(김상기, 『조선명인전』 중, 1948)
「계백」(이희덕, 『한국의 인간상』 2, 1965)
「계백」(노충희, 『인물한국사』 1, 1965)
「김유신의 백제공격로연구」(정영호, 『사학지』 6, 1972)
주석
주1

있는 힘을 다하여 싸움.    우리말샘

주2

중국 당나라의 장군(592~667). 이름은 열(烈). 정방은 자(字). 현경(顯慶) 5년(660)에 나당(羅唐) 연합군의 대총관으로서 13만의 당군을 거느리고 백제의 사비성을 함락하고, 의자왕과 태자 융(隆)을 사로잡았다. 661년에는 평양성을 포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춘추 시대 월(越)나라의 왕(?~B.C.465). 오(吳)나라의 왕 합려와 싸워 이겼으나, 그의 아들 부차에게 대패하여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항복하였다. 그 뒤 기원전 473년에 범여의 도움으로 오(吳)나라를 멸망시켰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496~기원전 465년이다.    우리말샘

주4

중국 춘추 시대 말기 오나라의 왕(B.C.?~B.C.473). 춘추 오패(五霸)의 한 사람으로, 아버지 합려(闔閭)가 월왕(越王) 구천(句踐)에게 패하여 죽자, 그 원수를 갚기 위하여 와신상담하다가 마침내 기원전 494년에 이를 이루었다. 뒤에 월나라 구천에게 패하여 자살하였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496~기원전 473년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신동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