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상국전 ()

계상국전 중 권수면
계상국전 중 권수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계월선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필사본. 일명 ‘계월선전(桂月仙傳)’이라고도 한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상하 2권이며, 김기동(金起東) 소장본은 표제가 ‘계월선전’으로 되어 있는 4권 4책이다. 양본의 내용은 거의 같다.

필사연대는 작품 끝에 ‘을유 이월 등’이라 쓰여 있는 것으로 보아 대략 1885년(고종 22)으로 추측된다. 작품의 구성은 장회소설(章回小說)의 형식으로 권1·2가 각 10회, 권3이 8회, 권4가 6회, 모두 34회로 되어 있다.

내용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명나라 홍치연간에 서주에 처사 계장춘과 양만화라는 선비가 살고 있었는데, 두 사람은 자녀의 혼취(婚娶)를 함께 하자고 약속하였다.

그 뒤 계장춘은 월선이라는 아들을, 양만화는 춘설이라는 딸을 낳아 아이들이 15세가 되자 혼약을 맺는다. 그러나 양만화가 역모에 몰려 딸 춘설과 함께 소주로 귀양가게 되어 서로 헤어지게 된다.

그 뒤 월선은 과거에 장원하고 서울로 가는 도중 유계화·소혜연·이초운 등의 여자들을 만나 가연을 맺는다. 후에 한림학사가 된 월선은 간신 이태명의 청혼을 거절하여 투옥되었다가 마침 서번이 쳐들어오자 월선이 대원수가 되어 출전하게 된다. 서번과의 싸움에서 공을 세운 월선은 그 뒤 이태명 등 간신들을 물리친다.

큰 공을 세운 월선은 양주자사가 되었지만, 춘설과 소혜연 등의 종적을 찾지 못하여 안타까워하던 중에 다시 난이 일어나 대원수가 되어 난을 평정하고 초국왕이 된다. 그 뒤 아버지 계장춘을 만나고 춘설도 만나 예를 올린다.

또, 소혜연과 공주와도 가약을 맺고 유계화·이초운·옥향 등은 세 부인의 밑에 있도록 하나 곧 이들도 정실이 되어 월선은 여섯 부인을 거느리게 된다. 월선이 선정을 베풀어 국가를 평안하게 하던 중 부인들의 주선으로 두태을과 숙인을 또한 부인으로 맞아들여 8명의 부인을 두게 되었다.

그 때 나라에 왜국이 쳐들어오니 월선은 다시 대사마장군이 되어 물리치고 운남국에 이르러 운남공주와 혼약하였다. 귀국하여 좌승상이 된 뒤 벼슬을 마치고 귀향한다.

월선은 10명의 부인과 즐겁게 살면서 아들 57명과 딸 43명을 두었고 그 자손들도 모두 고관현직을 지내게 된다. 90세가 되던 해 월선은 여러 자손들을 모아놓고 잔치를 한 뒤 세상을 떠난다.

이처럼 「계상국전」은 많은 등장인물, 복잡한 사건, 넓은 배경, 종횡무진한 사랑과 전쟁 등을 폭넓게 지닌 거작이다. 유·불·도를 배경사상으로 하여 도교적 신선관과 허무관, 불교적 무상관, 유교적 충·효·열, 그리고 중세적 일부다처주의의 귀족적 생활관 등이 드러나 있다.

그리고 주인공들이 모두 불계나 선계에서 인간으로 하강하고 있는 점이나 일부다처의 인적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 등에서 「구운몽」이나 「옥루몽」과 유사한 면이 많다. 따라서, 그 성립연대는 「구운몽」이 지어진 조선 숙종 이후로 추측될 수 있다.

참고문헌

「계상국전소고」(박성의, 『문리논집』6, 고려대학교문리과대학, 196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