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문도통 ()

목차
관련 정보
공문도통
공문도통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책(59장). 한글필사본. 확실한 저작 및 필사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의 작품인 듯하다. 장서각본에는, 표제가 한자로 ‘孔門道統(공문도통)’이라고 쓰여 있는데, 여기에는 「공문도통」 이외에 전체 분량의 반이 넘는 「문성궁몽유록(文聖宮夢遊錄)」이 합철되어 있다.

「공문도통」은 공자(孔子)와 제자들의 언행을 사실성에 바탕을 두고, 다른 내용을 가미하여 기술하고 있다. 공자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8분의 1 가량에서 주자(朱子)·자사(子思)·맹자(孟子)·안자(顔子) 등의 행적을 간략하게 특징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공자에 대한 언급 중에서는 『공자가어(孔子家語)』 등에 보이는 공자의 행적 중에서도 공자가 ‘존왕양이(尊王壤夷 : 왕실을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침)’의 기치 아래에서 무너져 가는 주(周)나라 왕실을 보존하고, 실추된 도덕과 인륜을 만회하려고 여러 제후들에게 유세하였던 사실이 중점적으로 쓰여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은 옛 기록에 나오는 사실에 허구적인 것이 보태진 것이다. 이 글에 등장하는 인물은 모두 『논어』나 『공자가어』 등에 보이나, 그 사건의 내용은 상당히 변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공자가 제(齊)나라에 가서 경공(景公)을 만나는 대목을 예로 들면, 『논어』에는 여러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를 물으니, 공자는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어버이는 어버이답고 자식은 자식답게 하는 것(君君臣臣父父子子)”이라고 하여 제 경공이 감탄한 대목이 있다.

이것이 「공문도통」에서는 “제나라에 가시니 제 경공이 인륜을 정하지 못하였더니 정사를 물으시매, 공자가 오륜을 정히 하고 도리를 고하시다.”라고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논어』의 기술을 간략하게 축소하여 그 대의만을 기록하고, 『논어』의 일화적(逸話的)이고 단편적인 기록의 한계성을 벗어나 서술성을 부연하려고 말을 윤색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윤색을 한 다음, 작자는 공자가 주나라 종묘에 재변이 있음을 정확히 알아맞히자, 여러 경공이 성인의 지혜는 사람들이 미칠 바가 아니라고 탄복한다는 내용을 허구적으로 꾸며놓았다.

이러한 내용의 부연은 공자가 도덕과 인륜을 강조하고 다니면서 유세한 제후들과의 대화에 많이 삽입되어 있다. 그밖에도 노애공(魯哀公) 등과 주고받은 대화에도 나타나 있다.

이러한 사실과 허구를 통하여, 세상의 보통 사람과는 다른 모습과 덕을 지니고 태어나서 도덕과 인륜을 바로잡으려고 한 공자의 성인·군자적 인간상을 부각시키려고 하였다.

그밖에 증자(曾子)를 비롯한 자사·맹자 등에 대한 서술은 비교적 간략하게 그들의 이름과 옛 문헌에 보이는 그들의 특징적 면모를 간명하게 기술하였기 때문에 허구적 개입도 적은 편이다.

작자는 공자가 제후들에게 인륜과 도덕을 강조하였으나, 그 뜻이 구현되지 못하였음을 일관되게 기술하였는데, 여기에는 만일 공자가 때를 만났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담고있다.

작자는 이러한 아쉬움을 『문성궁몽유록』에서 해결하고 있다. 『문성궁몽유록』은 공자가 문성왕(文聖王 : 文宣王의 잘못인 듯함.)이 되어 맹자·안자·자사·염백우(冉伯牛)·염구(冉求) 등 제자를 신하로 거느리고 있는 문창부를 꿈에 가보고 그 허구의 세계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사수몽유록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동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