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이정립의 계은유고 중 표지
이정립의 계은유고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이정립의 전 · 계 · 교서 · 시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이정립의 전 · 계 · 교서 · 시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책. 목판본. 권두에 이항복(李恒福)의 서문과 권말에 이광좌(李光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전(箋) 6편, 계(啓)·교서(敎書)·사문(赦文)·비답(批答)·소·서(序)·기·상량문·제문·부(賦) 각 1편, 시 186수, 부록에 묘지명·시장(諡狀)·사제문(賜祭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 가운데 「평난공신사사연전(平難功臣謝賜宴箋)」은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반란을 평정시킨 대소공신들에게 관직을 내리고 연회를 베풀 것을 권유한 내용으로, 나라가 어려울 때 일신의 생사를 생각하지 않고 종묘사직을 위하여 역경을 극복한 자에게는 반드시 상을 내려, 후대에 진충사국(盡忠事國)의 귀감이 되도록 할 것을 강조하였다.

「참역괴정여립사문(斬逆魁鄭汝立赦文)」에서는 역적 정여립의 엄단을 촉구하였다. 「처강호우기군부(處江湖憂其君賦)」는 지방의 벽촌에 은거하는 한 선비가 국사를 걱정한 의제(擬題)로서, 재덕이 부족하고 경륜이 천박하여 요순(堯舜)과 같은 평화로운 시대가 되게 보필하지 못하는 것이 최대의 근심이라고 하였다.

시는 대부분이 지우들간에 증별한 것으로 감동적이고 인간적인 애정을 엿볼 수 있는데, 그 중 「효기(曉起)」는 천지만물이 낮에는 활동하고, 밤에는 휴식함으로써 다시 내일을 준비하는 원리를 생각하며, 새벽의 하늘을 쳐다보면서 느낀 감회를 표현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