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암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고암유고 / 사
고암유고 / 사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정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정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석판본. 1936년 그의 10대손 상필(相弼)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성두식(成斗植)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상필·인식(麟植)·창식(昌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사(詞) 3편, 부 5편, 시 68수, 소 4편, 권2에 소 3편, 서(書) 12편, 권3에 잡저 22편, 권4에 서(序) 3편, 기 1편, 잠 2편, 송(頌) 3편, 상량문 1편, 축문 16편, 제문 19편, 묘갈명·묘지명·묘표·행장·전(傳) 각 1편, 권5·6은 부록으로 연보·제현시(諸賢詩)·사적·행장·가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오현종사소(五賢從祀疏)」에는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등 5현의 행적을 열거하여, 문묘에 종사할 것을 적극적으로 건의하였다. 「신리성우계소(伸理成牛溪疏)」에는 임진왜란 때의 일로 성혼(成渾)의 무함에 관하여 이론을 밝혀 진술하였다.

잡저 가운데 과표(科表)의 「명국황태자고치사사문화보감이책수기치인지요(明國皇太子高熾謝賜文華寶鑑以責修己治人之要)」 등 16편은 명나라와의 교린관계를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주로 정치에 관한 저자의 소신을 밝힌 것으로, 당시의 정치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