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곡산읍지
곡산읍지
인문지리
문헌
황해도 곡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목차
정의
황해도 곡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내용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내용구성은 강역(疆域)·건치연혁(建置沿革)·진관(鎭管)·주명(州名)·관원(官員)·임속(任屬)·성적(聖蹟)·풍속(風俗)·성씨(姓氏)·인물(人物)·효열(孝烈)·물산(物産)·공헌(貢獻)·공서(公署)·각창고(各倉庫)·교우(校宇)·단유(壇壝)·누정(樓亭)·산천(山川)·사찰(寺刹)·진교(津橋)·역원(驛院)·진보(鎭堡)·관애(關阨)·제언(堤堰)·장시(場市)·각면리(各面里)·전답총(田畓摠)·곡총(穀摠)·세총(稅摠)·군총(軍摠)·늠봉(廩俸)으로 되어 있다.

1819년(순조 19)에 편찬된 ≪상산지 象山誌≫를 저본으로 하여 수정한 것이다. 각 면리조에 각 이(里)별로 호수와 남녀 인구수를 기록하였는데, ≪상산지≫의 내용을 그대로 전사하였으며 전답의 수치도 변화가 없다.

성적조가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조선 태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말을 달렸다는 유적지가 부(府)의 북쪽 100리 하남산(下南山) 위에 위치하고 있음과, 그에 대하여 1799년 정조가 어필(御筆)과 비명을 내려 비를 세운 사실과 그 기록,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의 집터에 비를 세운 사실, 그리고 그 비명과 서(序)를 수록하여, 곡산의 특징적인 장소로 소개하고 있다.

책머리에 가로 66㎝, 세로 95㎝의 대형 채색지도가 첨부되어 있는데, 산천·도로·공해(公廨)·문루(門樓)·비각·동리·창고·성·하마비(下馬碑)·사찰 등이 자세히 그려져 있어, 지지의 보충 구실을 일목요연하게 하고 있다. 특히, 각 동리가 일일이 표시되어 옛 촌락의 분포와 입지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해서읍지』
『황해도전지』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전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