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괴산군읍지
괴산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충청북도 괴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읍지.
목차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읍지.
내용

1책. 필사본. 방리조의 호구(戶口) 기록에 신유식(辛酉式)을 쓰고 있으며, 환적조의 김희순(金羲淳, 1757∼1821)의 생몰연대로 보아 1801년경에 작성된 읍지를 후대에 필사한 듯하다.

내용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방리(坊里)·산천(山川)·풍속(風俗)·전부(田賦)·전세(田稅)·대동(大同)·요역(徭役)·군액(軍額)·창고(倉庫)·학교서책(學校書冊)·단묘(壇廟)·명묘(名墓)·사찰(寺刹)·누정(樓亭)·도로(道路)·교량(橋梁)·장시(場市)·역원(驛院)·고적(古蹟)·토산(土産)·진공(進貢)·봉름(俸廩)·환적(宦蹟)·과갑(科甲)·인물(人物)·제영(題詠) 등으로 되어 있다.

이 읍지는 전부조에서 창고조에 이르는 경제·군사 관계 내용이 상세한 점이 특징이다. 전부조의 경우 원장부에 수록된 한전(旱田)·수전 면적과 공수위(公須位)·내수사면세(內需司免稅) 등 각양잡탈전(各樣雜頉田)의 내역과 그에 따른 실기결수(實起結數)를 기록하였다.

방리조에는 이별로 위치·편호(編戶)·남녀인구수를 기록하여 영조 때의 기록인 ≪여지도서≫와 비교를 할 수 있다. 학교서책에는 향교에 간직된 서책과 제복(祭服)·제기(祭器) 등도 기록하여 놓았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밖에 1899년에 편찬된 ≪충청북도괴산군읍지≫가 규장각도서와 장서각도서에, 1902년에 작성된 ≪괴산군읍지≫가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호서읍지(湖西邑誌)』
『충청북도괴산군읍지(忠淸北道槐山郡邑誌)』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전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