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고양군읍지
고양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경기도 고양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목차
정의
경기도 고양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내용구성은 강계(疆界)·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씨(姓氏)·산천(山川)·봉수(烽燧)·궁실(宮室)·역원(驛院)·관사(官舍)·학교(學校)·교량(橋梁)·불우(佛宇)·사묘(祠廟)·능원(陵園)·총묘(塚墓)·인물(人物)·효열(孝烈)·제언(堤堰)·관원(官員)·호액(戶額)·전안(田案)·재곡(財穀)·관속(官屬)·공안(貢案)·병안(兵案)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선생안’에 218인의 역대 수령 명단을 열거하여 인명록을 남겨놓은 점이다. 역원조 벽제역(碧蹄驛)에는 중국사신들이 입경 전날 반드시 이 역에서 숙박하였음을 밝히고, 사신들이 남겨놓은 시를 수록하였다.

또한, 고양군은 서울에 인접한 읍이므로 능묘가 매우 많이 분포되었음이 읍지에 나타난다.

능원조에는 경릉(敬陵 : 德宗陵)·창릉(昌陵 : 睿宗·安順王后陵)·익릉(翼陵 : 仁敬王后陵)·순창원(順昌園 : 順懷世子園)·명릉(明陵 : 肅宗陵, 仁顯王后·仁元王后祔葬)·홍릉(弘陵 : 眞聖王后陵)·예릉(睿陵 : 哲宗陵) 등 왕릉과 관계된 시들이 기재되고, 총묘조에는 최영(崔瑩)·월산대군(月山大君)·민순(閔純)·남효온(南孝溫)·김정국(金正國)·홍봉한(洪鳳漢) 등의 묘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891년에 편찬된 ≪고양군여지승람 高陽郡輿地勝覽≫이 규장각도서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있고, ≪고양군지 高陽郡誌≫가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고양군여지승람(高陽郡輿地勝覽)』
『고양군지(高陽郡誌)』
『경기지(京畿誌)』
『경기읍지(京畿邑誌)』
『기전영지(畿甸營誌)』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전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