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명왕도량 ()

목차
관련 정보
용천 석조다문천왕상, 석조공작명왕상
용천 석조다문천왕상, 석조공작명왕상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공작명왕을 신앙의 대상으로 개최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공작명왕을 신앙의 대상으로 개최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내용

공작명왕은 '불모대공작명왕보살(佛母大孔雀明王菩薩)'이라고도 하며, 불교의 밀교(密敎)에 나오는 가장 기원이 오래된 대표적인 명왕이다. 대부분의 명왕이 분노(忿怒)형인 것에 비해 공작명왕은 보살형이다. 『화엄경』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불을 모시며, 모든 재난을 물리치는 상징인 공작의 모습을 취하였으며, 푸른 연화대에 앉아 악마를 항복받는다고 한다. 형상은 삼면팔비(三面八臂)로서 얼굴이 셋, 팔이 여덟인 모습을 취하고 있는데, 그것은 관세음보살 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중생을 보다 많이 섭화(攝化)한다는 뜻에서 기인된 것이다. 밀호(密號)인 불모금강(佛母金剛)은 어떠한 재난도 깨뜨릴 수 있다는 상징을 담고 있으며, 불교를 옹호하는 여러 신 가운데 제석천(帝釋天)과 동등한 위치에 있고, 늘 주변에는 야차(夜叉)를 거느린다.

공작명왕의 현세 이익적 상징 때문에, 밀교(密敎)와 절충되면서 독특한 만다라(Manda-la)를 이루게 된다. 즉, 이 공작명왕의 초상을 그려 모시고 법회를 열면 재앙이 소멸된다고 생각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고려 때 성행한 법회로서 외적의 침입, 홍수 등 천재지변이 있을 때 이 도량을 여는 것을 상례로 삼았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1110년(예종 5) 4월문덕전(文德殿)에서 국난의 타개를 위하여 개설된 공작명왕도량이다.

조선시대 이후 공작명왕에 대한 신앙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불법을 수호하는 104위의 신장(神將) 가운데 하나로 포함되어 신중탱화(神衆幀畫)로 봉안되어 현재까지 미미하나마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불설불모공작명왕경(佛說佛母孔雀明王經)』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