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 소속의 부경(赴京) 수행 역관.
목차
정의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 소속의 부경(赴京) 수행 역관.
내용

정원은 한학교회(漢學敎誨) 23명, 왜학교회(倭學敎誨) 10명이며, 이들 중 3명이 사행(使行)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들은 일찍이 총민(聰敏)을 지내고 잡과에 합격한 자를 권점(圈點)하여 임명하였다. 훈상당상(訓上堂上)과 당상별체아(堂上別遞兒)는 반드시 교회를 역임한 자를 임명하였으며, 교수와 훈도도 교회를 역임하도록 하여 역학(譯學)의 전문성을 중시하였다.

현재로서는 교회가 언제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역과방목』에서 역관들의 관력으로 처음 나타나는 것이 1568년(선조 1) 증광역과에 합격한 임춘발(林春發, 본관 會津)임을 볼 때, 16세기에 설치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존하는『역과방목』을 보면 교회를 역임한 합격자 빈도수가 가장 높다. 1677년(숙종 3) 사역원 대청(大廳) 동쪽에 7간(間) 규모로 교회청(敎誨廳)이 세워졌다.

참고문헌

『속대전(續大典)』
『통문관지(通門館志)』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사역원(司譯院) 제도(制度)」(원영환, 『남계조좌호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77)
「조선시대(朝鮮時代) 잡과입격자(雜科入格者) 연구(硏究)」(이남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8)
집필자
이남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