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관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교식(交食 : 일식이나 월식)을 관측하는 일을 맡았던 관상감(觀象監) 소속의 관원.
목차
정의
조선시대 교식(交食 : 일식이나 월식)을 관측하는 일을 맡았던 관상감(觀象監) 소속의 관원.
개설

처음에는 일월식(日月蝕) 담당자 1명을 두어 삼력관이 윤번으로 맡았으나, 1741년(영조 17) 삼력관의 인원이 30명으로 확정되면서 교식(交飾) 계산 시험을 통해 우수한 자를 취해 임명하도록 했으며, 1770년(영조 46)에 수술관을 설치했다.

내용

정원은 삼력관과 천문학전함(天文學前銜)을 각각 6명씩(전체 12명) 하였다가 그뒤 6명으로 줄였다. 그 중 2명은 삼력관이 겸임하고, 4명은 전함에서 임명하였다. 1787년(정조 20) 삼력관이 겸임하던 2명을 전함에 소속시켜, 6명 정원 모두 전함에서 임명하였다.

이 때부터 삼력관 선발시험에는 수술관만이 응시하도록 하였다. 1791년(정조 24)에는 과시(科試)와 승차(陞差) 등의 법을 정하였다. 현존하는 ≪음양과방목≫에는 1753년(영조 29) 합격자(전공 천문학) 안사일(安思一, 본관 順興) 이후 93명의 합격자 관력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중 70명이 삼력관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서운관지(書雲觀志)』
『운과방목(雲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
『운관방목(雲觀榜目)』(서울대도서관 古圖書)
「조선시대 잡과입격자 연구」(이남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8)
집필자
이남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