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륵법 ()

목차
회화
개념
형태의 윤곽을 선으로 먼저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칠하여 나타내는 화법. 구륵전채법 · 구륵착색법 · 구륵선염법 · 쌍구법.
이칭
이칭
구륵전채법(鉤勒塡彩法), 구륵착색법(鉤勒著色法), 구륵선염법(鉤勒渲染法), 쌍구법(雙鉤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형태의 윤곽을 선으로 먼저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칠하여 나타내는 화법. 구륵전채법 · 구륵착색법 · 구륵선염법 · 쌍구법.
내용

구륵전채법(鉤勒塡彩法)의 준말로, 구륵착색법(鉤勒著色法)·구륵선염법(鉤勒渲染法) 또는 쌍구법(雙鉤法)이라고도 한다.

중국의 당대(唐代) 이후 윤곽선 없이 직접 엷은 색채로 여러 겹 칠하여 형태를 나타내는 몰골법(沒骨法)이 등장하자 이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윤곽선을 중시하는 종래의 기법을 구륵법이라 일컬었다.

구륵은 윤곽선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견실한 형태 또는 밑그림을 견고하게 그린다는 의미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구륵’이라는 용어는 설색화(設色畫)에서 사용되며, 주로 화조(花鳥)나 화훼(花卉)의 기법을 구분할 때 쓰인다.

북송대(北宋代)에 형성된 황씨체(黃氏體)의 기본 양식을 이루었고, 정교하고 화려한 궁정취(宮廷趣) 짙은 원체풍(院體風)의 화조와 화훼를 그릴 때 많이 애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나 고려시대의 불교회화와 같은 실용적 채색화에서 많이 쓰였으며, 조선시대의 화조와 화훼화에서는 구륵법과 몰골법이 절충양식으로 혼용되었다.

조선 중기 이영윤(李英胤)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화조도」 3점은 현전하는 이른 예이며, 다수의 궁중장식화에서 확인된다.

참고문헌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白描畵から水墨畵への展開』(田中一松·米澤嘉圃, 講談社, 1978)
Some Technical Terms of Chinese Painting(March, B., Paragon Book, Arno Press, New York,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