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자

목차
관련 정보
청동초두
청동초두
식생활
물품
액체로 된 음식물을 뜨는 데 사용되는 용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액체로 된 음식물을 뜨는 데 사용되는 용구.
내용

형태는 액체가 잘 담길 수 있도록 바탕이 옴폭하게 패어 있고, 뜨거운 국물을 떠내기에 안전하도록 수직으로 긴 자루가 달려 있다. 국자의 사용시기는 이미 석기시대부터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신석기시대의 유물인 김해회현리패총에서 조가비를 국자로 사용한 흔적이 보이기 때문이다. 곧, 이곳의 조개무지 가운데 12㎝ 가량의 부채모양으로 생긴 조가비 한쪽 끝에 두개의 작은 구멍이 뚫어져 있는 것이 출토되었는데, 여기에 자루를 달아 국자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때의 국자는 대개 죽을 뜨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석기시대에 죽을 끓여먹었을 가능성은 화식(火食)의 조리법을 말해주는 화로가 발견되고, 또 곡물을 가는 데 쓰였을 맷돌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작된 국자는 고려시대로 와서 국이 대표적인 부식으로 발달됨에 따라 필수용구로 등장하였으며, 이 때는 식기의 주재료였던 놋쇠로 만들어져 조선시대에까지 이어졌다.

국자는 그 뒤 서양문물의 도입과 함께 재료상의 변화를 가져와 놋쇠 대신 양은으로 만들어졌고, 나아가서 스테인리스스틸·합성수지 등으로도 만들어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식생활사(韓國食生活史)』(강인희, 삼영사, 1978)
「한국문화(韓國文化)의 고고학적(考古學的) 연구(硏究)」(김원룡, 『한국문화사대계』Ⅰ,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편, 196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