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중본 ()

목차
관련 정보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출판
개념
세상에서 별로 볼 수 없는 고판본 따위의 도서로서 그 가치가 매우 진귀하여 특별히 보관하고 다루는 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세상에서 별로 볼 수 없는 고판본 따위의 도서로서 그 가치가 매우 진귀하여 특별히 보관하고 다루는 책.
내용

귀중도서 · 귀중서 · 희구서(稀覯書) · 희귀본(稀貴本) · 진본(珍本) · 선본(善本) 등의 용어로도 쓰이고 있다.

이에는 ① 국보 · 보물 등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것, ② 1592년 이전에 쓰거나 베낀 것, ③ 1592년 이전에 인쇄한 활자본이나 목판본, ④ 유명한 사람이 쓴 원고 · 고본(稿本) · 서간(書簡) 등, ⑤ 유명한 사람이 간본(刊本)에 기록을 하거나 비주(批注)를 써넣은 것, ⑥ 공적인 기록이나 문서류의 원본(原本)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

⑦ 활자본이나 종이의 실물 표본을 모은 표본집, ⑧ 우표 또는 화폐의 실물이 붙여진 표본집, ⑨ 인보(印譜)로서 인장을 실제로 찍어 모은 것, ⑩ 육필(肉筆)로 그린 그림이나 지도가 들어 있는 것, ⑪ 한글이 들어 있는 어느 시기 이전의 필사본이나 간본, ⑫ 독립운동가나 애국자들이 쓴 1945년 이전의 필사본이나 인쇄본,

⑬ 1910년 이전에 외국에서 인쇄하였거나 쓰여진 우리 나라 관계의 내용이 들어 있는 자료, ⑭ 1945년 이전에 외국에 망명 또는 살고 있는 우리 나라 사람이 쓴 필사본이나 간본, ⑮ 1592년 이전에 만들었거나, 지금은 없어진 금석문(金石文)을 탁본한 것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귀중본은 시대적인 구분, 내용상의 구분, 형태상의 구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서정리법연구』(윤병태, 라이프출판, 1986)
「우리나라 귀중도서지정기준」(백린, 『도서』 11, 1968)
「공공도서관에 있어서의 귀중서」(윤병태, 『종로도서관보』 6,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