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곡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무신, 이종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이종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정리자본(整理字本). 1824년(순조 24) 그의 아들 경요(敬堯)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유선(趙有善)의 서문과 권말에 한경소(韓敬素)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은 시 349수, 권4는 논 1편, 설 2편, 서(序) 2편, 기 3편, 발 1편, 제문 4편, 묘표 1편, 부록으로 행장·묘지명·묘갈명·제문·만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주로 홍이효(洪履孝)·우홍록(禹弘祿)·강몽구(姜夢龜)·김계운(金啓運)·김명욱(金明郁)·김정한(金鼎漢) 등과 수창(酬唱: 시를 불러 서로 주고받음을 의미)한 것이 많으며, 개성을 무대로 한 박연폭포(朴淵瀑布)·송악산(松岳山)·만월대(滿月臺) 등에 대하여 읊은 작품이 많다.

설 가운데 「맹자덕담설(盲者德談說)」은 개성지방의 무속을 설명한 것이다. 이 글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음력 섣달 보름부터 정월 보름까지 여러 장님들이 둘씩 짝을 지어 북을 치고 밤마다 윤회하면서 주인을 위해 복을 빌고 귀신을 쫓는다는 무속의식이 전래되어오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기 가운데 「동유기(東遊記)」는 23일간에 걸쳐 금강산을 유람한 일기체의 기행문이다.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