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사지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있었던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사적.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있었던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사적.
개설

2001년 9월 29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남북 약 150m, 동서 약 170m의 네모난 구획을 이루었으며, 총면적은 약 7,800평(약 26,000㎡)에 달한다.

내용

금강사의 창건 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출토된 유물이나 가람배치로 보아 백제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보고 있다. 절에 관한 문헌상의 기록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절터에서 출토된 암키와 조각에 ‘金剛寺(금강사)’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으므로 현재의 위치를 금강사지라고 불렀다.

이 폐사지는 1964년과 1965년의 두 차례에 걸친 발굴조사에서 가람의 규모와 배치가 확인되었고, 그 결과 창건 이후 세 차례에 걸친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중수 때마다 당우들이 약간의 이동은 있었으나 큰 변화가 없었음이 밝혀졌다.

가람의 배치는 동향하여 동서선상에 당전(堂殿)이 배치되고 있어 다른 백제시대의 사지들과는 이례적인 배치를 취하고 있다. 건물 기단은 목탑지를 제외하고는 전부가 단층 기단이었으며, 금당지는 지대석 · 면석 · 갑석을 구비하고 네 귀에는 동자주를 세웠다. 또한, 지대석에 연결된 지표면에는 돌아가면서 포석(鋪石)을 깔았는데, 포석이 기단에서 발견된 예로는 최초의 것이다.

금당 규모는 남북의 길이가 약 19.1m, 동서의 길이가 약 13.9m에 달한다. 금당지의 동쪽에 있는 목탑지 중심에는 심초석(心礎石)이 있는데, 가운데에 구멍이 있다. 강당지는 남북의 길이가 약 45.5m, 동서의 길이가 약 19.1m이며, 강당 좌우 측면에는 회랑이 접속되어 있었고, 후면 중앙부에서는 뒤쪽에 위치했던 승방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행랑지가 발견되었다.

중문은 탑지 동쪽에 있었고, 중문의 좌우도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유물로는 백제 때의 연화문막새와 서까래끌개를 비롯하여 신라시대 및 고려시대의 암막새 등이 많이 출토되었다.

사지 옆에는 우뚝 선 장독바위가 있고 동북쪽 냇가에는 신터리봉이 있다. 장독바위는 금강사에서 장독대로 사용했다고 전하며, 신터리봉은 절을 지을 때 일꾼들이 신에 묻은 흙을 털었는데, 그 흙이 쌓여 이루어진 봉우리라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참고문헌

『전통문화의 고장 부여』(부여군, 1982)
『금강사지발굴조사보고서』(국립중앙박물관, 1969)
『부여군지』(부여군, 196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