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가리촌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지명
신라 초기, 경주 지역에 자리 잡았던 6개의 촌 가운데 하나.
이칭
이칭
가리촌(加里村), 가리부(加利部), 한기부
지명/고지명
지역
경주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산가리촌은 신라 초기에 경주 지역에 자리 잡았던 6개의 촌 가운데 하나이다. 금산은 경주 시가지 북쪽에 있는 소금강산을 가리키는데, 이를 감안하면 가리촌의 위치는 대체로 지금의 경주 북천 이북의 황성동, 용강동, 동천동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정의
신라 초기, 경주 지역에 자리 잡았던 6개의 촌 가운데 하나.
위치

신라 초기에 경주 지역에 자리 잡았던 6개의 촌 가운데 하나이다. 『삼국유사』 권 1 기이편 신라시조 혁거세왕조에는 금산(金山)에 대해 '금강산(金剛山) 백률사(栢律寺)의 북쪽 산'이라는 내용의 협주가 달려 있다. 이를 감안하면 금산가리촌은 대체로 오늘날 백률사가 위치한 경주시 북쪽 ‘소금강산(小金剛山)’ 주위의 황성동, 용강동, 동천동 일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삼국유사』의 관련 기록에는 금산가리촌이 한기부(漢岐部)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고려 초에는 가덕부(加德部)로 다시 바뀌었으며, '상하서지(上下西知)'와 내아(乃兒) 등 동쪽의 촌들이 그곳에 속하였다고 나온다. 이를 근거로 고려시대에 상서지, 하서지 등의 촌이 있던 지금의 경주시 양남면 일대를 금산가리촌의 소재지로 보는 설도 있다.

한편 『삼국사기』 권 1 신라본기 1 시조 혁거세거서간 즉위조에서 금산가리촌을 비롯한 6촌을 '진한육부(辰韓六部)'로 표현한 것을 중시하는 연구자도 있다. 6촌은 곧 진한의 6개 소국들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이해하면서 6촌의 위치도 경주 지역이 아니라 진한 소국들이 분포한 경상도 전역으로 범위를 넓혀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혁거세 설화에 따르면 금산가리촌은 혁거세 출현 이전에 ‘조선(朝鮮)’ 즉 고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짜기에 분산하여 거주하면서 이룬 촌이다. 금산가리촌은 하늘에서 알이 내려와 그 알에서 깨어난 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하여 그가 신라를 건국할 때 함께 참여한 집단이라고 전해진다. 『삼국유사』 권 1 기이편 신라의 시조 혁거세왕조에는 6촌장의 천강(天降) 설화가 실려 있는데, 지타(祗沱)라는 이름의 촌장이 명활산으로 내려와 금산가리촌을 이끌었으며, 그가 곧 한기부 배(裴)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에는 애초에 금산가리촌으로 불리던 곳이 신라 건국 과정에서 진한 6부의 하나로서 '가리부(加利部)'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고, 32년(유리이사금 9) 봄에 '한기부'로 이름을 바꾸되면서 '배'라는 성씨가 하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지만 학계에서는 대체로 이 시기에 실제로 중국식 성인 배씨라고 불렀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파악하고 있다. 나아가 6촌이 곧바로 후대의 6부로 이어졌다는 것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이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6촌 가운데 알천양산촌돌산고허촌의 후신으로서 각각 이씨와 최씨(또는 정씨)의 성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양부(梁部)와 사량부(沙梁部)가 실제 6세기 신라 금석문에서는 김씨 왕실이 속한 부들로 확인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한기부도 이런 맥락에서, 탈해(脫解)로 대표되는 석씨 집단이 장악한 부라고 보면서, 혁거세 출현 이전에 이미 고조선의 유민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하는 금산가리촌과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단행본

전덕재, 『신라 왕경의 역사』(새문사, 2009)
강종훈, 『신라상고사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논문

김병곤, 「혁거세 세력 등장 이전의 사로 육촌」(『한국고대사탐구』 24,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박대재, 「신라 초기의 국읍과 6촌」(『신라문화』 43,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4)
문경현, 「신라 건국과 사로 6촌」(『신라사학보』 23, 신라사학회, 2011)
박홍국, 정상수, 김지훈, 「사로6촌의 위치에 대한 시론」(『신라문화』 21,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서의식, 「'진한육촌'의 성격과 위치」(『신라문화』 21,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권오영, 「사로육촌의 위치문제와 수장의 성격」(『신라문화』 1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