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리부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신라 진평왕대에 상대등을 지낸 진골 귀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588년
주요 관직
상대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노리부는 신라 진평왕대에 상대등을 역임한 진골 귀족으로, 진평왕 즉위년인 579년 8월에 이찬으로서 상대등의 자리에 올랐다. 진평왕에 앞선 왕인 진지왕이 재위 4년째에 귀족들에 의해 폐위되었는데, 그 직후 노리부가 상대등이 된 것을 보면 진지왕 폐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정의
신라 진평왕대에 상대등을 지낸 진골 귀족.
인적 사항

노리부(弩里夫)의 가계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참고로 『삼국사기』 권 4 「신라본기」 4 법흥왕 19년(532)조에서 신라에 항복한 금관국 구해왕(仇亥王)의 맏아들로 전한 '노종(奴宗)'과 권 44 ‘거칠부 열전'에 보이는 ' 노부(奴夫)’ 파진찬을 노리부와 동일 인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구해왕의 아들 노종은 『삼국유사』 권 2 '기이편 가락국기'에서는 '세종(世宗)'으로도 나오는데, '세(世)'의 훈(訓)이 '누리'여서 노리부라는 이름의 앞부분을 음차할 경우 노종, 훈차할 경우 세종으로 표기되었다고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유사한 이름을 가진 인물들이 적지 않았기에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특히, 세종이라는 이름은 『삼국사기』 권 4 「신라본기」 4 진지왕 2년(577) 10월조에도 보이는데, 같은 책 같은 권에서 노리부가 따로 등장하는 것을 보면, 양자는 서로 다른 인물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 단양 신라 적성비(丹陽 新羅 赤城碑)'에 보이는 '내례부지(內禮夫智)'와 '서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와 '마운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에 나오는 '내부지(內夫智)'를 노리부로 추정하기도 한다.

주요 활동

노리부라는 이름으로 관련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만 한정하여 보면, 진평왕 즉위년인 579년 8월에 이찬으로서 상대등이 되었다가, 그로부터 9년 뒤인 진평왕 10년(588) 12월에 상대등으로 지내다가 사망하였다고 한다. 『삼국유사』 권 1 '기이편 도화녀 비형랑조'에 따르면, 진평왕은 앞선 왕인 진지왕이 정치가 어지럽고 황음(荒淫)하다는 이유로 국인(國人)들에 의해 폐위된 후 왕위에 오른 것으로 나오는데, 즉위하자마자 노리부를 상대등으로 삼았다는 것은 곧 그가 진지왕의 폐위와 진평왕 옹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단행본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2권(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논문

임평섭, 「신라 중고기 영토 확장과 정치집단의 역동적 대응」(『역사학연구』 78, 호남사학회, 2020)
김태식, 「대가야의 세계와 도설지」(『진단학보』 81, 진단학회, 199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