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규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지사, 경상북도 지사,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한 관료 ·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5년(고종 12) 11월 10일
사망 연도
1935년 8월 17일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충청남도 부여
관련 사건
3·1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지사, 경상북도 지사,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한 관료 · 친일반민족행위자.
생애 및 활동사항

1875년 충청남도 부여에서 출생했다. 가정에서 한학을 수학했으며, 1902년 4월 외부(外部) 견습생으로 입학하여 1903년 3월 졸업했다. 1903년 외부(外部) 주사로 임용되어 동래감리서 주사, 옥구감리서 주사, 창원감리서 주사, 창원부 주사, 성진부 참서관, 성진항재판소 검사, 함경북도 사무관 등을 역임했다.

일제강점 이후 조선총독부 관리로 영흥군수, 안변군수, 함경남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임시위원, 함경북도 문관보통징계위원회 위원, 함경북도 참여관, 함경북도 보통시험위원, 평안남도 참여관, 전라남도 지사, 경상북도 지사, 중추원 참의 등을 지내면서 일제 지배정책에 협력했다. 일본정부로부터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1915년 다이쇼[大正]대례기념장, 1921년 훈6등 서보장(瑞寶章), 1925년 훈5등 서보장, 1928년 쇼와[昭和]대례기념장, 1931년 훈3등 서보장 등을 받았다.

관직 이외에 1930년 일본 수양단 조선지부 성격인 수양단조선연합회본부 평의원, 1933년 조선신궁 설치 10주년 기념사업을 위해 결성된 조선신궁봉찬회 경북지부장, 1934년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전쟁에 대비해 조직된 관제 단체 경북국방의회연합회 회장을 지낸 바 있다.

특히 안변군수로 재직 중 관내에서 일어난 3·1운동을 진압한 공로로 조선총독부로부터 크게 인정받았다. 이 일로 대한민국임시정부로부터 현상(懸賞) 인물로 지목되었다. 1929년 10월 「전남 산업의 진전과 장래」라는 글을 발표했으며, 1930년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당시 조선총독과 남원 광한루에서 「남원 광한루에서」라는 한시를 지은 적이 있다.

김서규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9·17·19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2: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845∼858)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대한제국관원이력서(大韓帝國官員履歷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2: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일제협력단체사전』(민족문제연구소, 2004)
『친일파군상(親日派群像)』(민족경제연구소 편, 삼성문화사, 1948)
『관보(官報)』(일본내각, 1917.4.4)
『대동아(大東亞)』 제15권 제3호(1943.3)
『동아일보(東亞日報)』(1922.5.7·1929.12.11·1932.7.31)
『매일신보(每日申報)』(1930.2.23·1933.1.24·3.4·1934.4.12·1935.8.18)
『삼천리(三千里)』 제3권 제1호(1931.11)·제5권 제9호(1933.9)
『서훈(敍勳)』 권1 내국인1(1920)·권2 내국인2·(1925)·권1 내국인1(1929)·권6 내국인6(1931)
『조선(朝鮮)』 제173호(1929.10)
『조선공로자명감(朝鮮功勞者銘監)』(민중시론사, 1935)
『조선인사흥신록(朝鮮人事興信錄)』
『조선총독부관보(朝鮮總督府官報)』(1913.6.7.・1930.1.27)
『조선총독부급소속관서직원록(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
집필자
성주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