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수 선생 묘 ( )

목차
관련 정보
경기도 광주 김자수 선생 묘 정면
경기도 광주 김자수 선생 묘 정면
고려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에 있는 고려후기 관리 · 문신 김자수의 무덤.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자수선생묘(金自粹先生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87년 02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기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 산120-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에 있는 고려후기 관리 · 문신 김자수의 무덤.
내용

1987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봉분 앞에는 혼유석·상석·향로석이 있고, 그 앞에 장명등이 있으며 좌우에 석양과 망주석이 1쌍, 문인석 2쌍이 배열되어 있다.

이 중 상석 좌우의 문인석 1쌍은 높이 80㎝, 어깨 폭 40㎝로 작은 크기이며, 양식으로 보아 조선 초기의 것으로 보인다. 묘역 앞쪽의 문인석 1쌍은 금관조복 형태의 양식으로 보아 조선 후기의 것이다. 석양을 포함하여 장명등, 상석 등의 석물은 근래에 세운 것이다.

유언으로 묘비는 세우지 않았으며, 신도비는 땅에 묻었다 한다. 1926년에 후손들이 신도비를 발굴하였으나, 비문의 마모가 심하여, 새로운 신도비를 제작하여 옛 신도비와 함께 세웠다.

김자수는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공양왕 즉위 후 성균관대사성을 지냈고, 당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던 숭불(崇佛)의 폐단을 지적하는 상소를 올렸다.

1392년 고려왕조가 붕괴되고 조선왕조가 건국되자 모든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안동에 은거하면서 학문에 열중하였다. 태종이 형조판서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절명시(絶命詩)를 남기고 자결하여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경기도문화재대관』(경기도, 1998)
『경기인물지』상권(경기도, 1991)
『경기도문화재대관』경기도지정편(경기도, 1990)
『경기도문화재위원회 ’87문화재 2차지정 심의자료』(경기도, 198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