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들노래 (들노래)

목차
국악
작품
전라남도 나주방에서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 농요(農謠).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나주방에서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 농요(農謠).
내용

전라남도 나주지방에서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 농요(農謠).

영산강을 끼고 곡창지대의 중심에 위치한 나주에서는 많은 농요가 불리고 있으며, 전라남도의 다른 어느 지역에서도 볼 수 없는 득특한 들노래로 세련미를 갖추고 있다. 보통 다른 지방에서의 논매기소리는 초벌, 두벌 논을 맬 때와 세벌 논을 맬 때의 만두레소리에서 같은 소리로 부르나 나주에서는 달리 부른다.

논일의 순서에 따라 <모찌기소리>·<모심기소리>·<논매기소리>, 그리고 <장원(壯元)질소리>의 순으로 부른다. 이 가운데 <논매기소리>는 초벌 맬 때의 <초벌매기소리>, 두벌 맬 때의 <절사소리>, 세벌 맬 때의 <덜래기소리>와 논매기가 끝난 뒤 논두렁으로 올라갈 때 부르는 <뜰모리>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일부의 노래말 처음은 다음과 같다.

에헬사 절시구나 에헬사 절시구나

절사소리는 어디 갔나

천산 찾아서 돌아들 오네

다 잘 허고나 다 잘도 허네……. <절사소리>

바람 불고 헤서리 올……줄을 알면

어리사 어떤 부인이서 따러를 갈께

저리사 어떤 부인이 허허

무슨 소린 줄 내 몰라

어리사 저리사 허 저리사……. <뜰모리>

우리가 석양판 되얏으니

이제는 지심도 다 매고

소를 타고 우리 쥔네집에 들어가서

닭마리 잡고 권커니 잣커니

우리 농부 땀 흘리고 그랬으니

한잔 걸게 먹고

권커니 잣커니 합시다……. <장원질소리>

작업요이니만큼 선소리꾼이 독창으로 메기면 여럿이 합창으로 받는 형식으로 부른다. 장단은 <모찌기소리>는 중모리, <모심기소리>는 못방구장단이라고 불리는 덩더꿍이, <초벌매기소리>는 진양조, <절사소리>는 세마치, <덜래기소리>는 중모리, <뜰모리>는 엇모리로 되어 있고, <장원질소리>는 중중모리로 되어 있다. 선율의 구성은 남도의 계면조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예술』(최창봉 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