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아지타령」은 ‘에야뒤야 나헤헤 헤야 어야 디여라 산아지로구나’의 받는소리를 반복해 부르는 민요이다. ‘산아지타령’ 또는 ‘에야뒤야’라고도 한다.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등지에 널리 분포하지만, 전라남도 동부 지역에서 가장 왕성하게 전승된다. 모찌기, 모심기, 논매기, 나무등짐소리 등 다양한 일노래로 부르지만 놀 때도 부르는 노래로 기능이 다양하다. 20세기 초에 이 노래에서 「진도아리랑」이 파생되었으며, ‘산타령’이라는 이름으로 남도잡가(南道雜歌)에 포함되어 불리기도 한다.
「산아지타령」은 향토 주1이자 통속민요(通俗民謠)이다. 향토 민요로서 여러 기능의 주2와 유희요(遊戱謠)로 불린다. 또한 통속민요로서 남도잡가에 포함되어 노래되기도 한다.
3소박 12박으로 3소박 중모리장단, 또는 세마치장단에 맞는다. ‘미라도-도시라미’의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2장단을 메기고 2장단을 받는다. 여러 사람이 함께 「산아지타령」을 부를 때는 돌아가면서 메기는 주3 형식으로 노래하며 이때는 주4를 부르지 않고 주5만 부르기도 한다.
「산아지타령」은 넓은 지역에서 다양한 기능으로 노래되면서 다양한 변이형이 만들어졌다. 받는소리를 ‘산아지로구나’에서 ‘사랑이로구나’, ‘산다이 바램이로고나’, ‘산 안이로구나’,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댕이로구나’ 등과 같이 바꾸는 경우가 있고, ‘에야뒤야’를 ‘에야뒤야뒤야’, ‘에헤에헤에헤이’와 같은 구음(口音)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받는소리를 생략하거나 다른 곡에 받는소리만 사용하면서 악곡의 정체성이 「산아지타령」이 아닌 다른 곡으로 인식되는 사례들도 있다. 「지리산 꼭대기에」와 「가거도 산다이」는 받는소리를 생략한 사례이며 비자나무와 장장짚세기, 함평 「맷돌노래」 등은 「산아지타령」의 받는소리를 종지구로 활용한 주6들이다.
또 「산아지타령」은 「진도아리랑」의 형성 배경으로 지목되고 있기도 하다. 「진도아리랑」의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의 후렴은 「밀양아리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야기되지만 메기는소리는 「산아지타령」을 그대로 활용한 것으로 본다. 즉 받는소리만 아리랑으로 교체한 것이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물레야 돌아라 빙빙빙 돌아라 워리렁 저리렁 잘도 돈다’를 받는소리로 부른 사례가 주6이다. 또 받는소리 없이 ‘삼산은 반락’으로 시작하는 가사를 부르는 짧은 노래는 그대로 ‘삼산은반락’이라는 제목으로 불린다. 「진도아리랑」, 「산아지타령」, 「물레타령」, 「삼산은반락」은 모두 남도잡가의 모음곡에 포함되는 곡으로서 통속민요 계열로 볼 수 있다. 이외에 남도 지역의 씻김굿 무가(巫歌) 가운데 「산아지타령」의 변주곡으로 「중염불」, 「노적청하기」, 「시주받기」, 「하적소리」 등이 있다.
받는소리
에야 뒤야 나헤헤에야
에야 뒤여로 산아지로구나
메기는소리 주7 밝은 달은 구름 속에 놀고
명기명창 화중선이는 장고 밑에서 논다
말은 가자고 네 굽을 치는데
님은 나를 꼭 붙잡고 아니 놓아 주네
‘산타령’이라는 이름과 ‘산아지로구나’라는 가사 등으로 보아 사당패 소리 계열이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