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속민요 ()

목차
관련 정보
정선아리랑 / 시연
정선아리랑 / 시연
국악
개념
각 지방 민요가 지역성의 한계를 벗어나 여러 지역에서 불려지고 유행하는 민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각 지방 민요가 지역성의 한계를 벗어나 여러 지역에서 불려지고 유행하는 민요.
개설

전문 소리꾼들에 의해 형성, 유행되고, 대중성을 목적으로 하는 민요이다.

내용

통속민요는 지역적 경계가 딱히 없지만, 지역 및 음악적 특징에 따라 크게 경기 통속민요, 서도 통속민요, 남도 통속민요로 분류된다. 그리고 경상도와 강원도, 함경도, 충청도, 제주도 통속민요는 현재 경기 창자들이 같이 부르고 있다.

최근 경, 서도 통속민요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벽두, 상업화된 극장 음악문화에 맞춰 사당패 계승집단 출신 창자들에 의해 기존의 향토민요나 사당패소리를 토대로 한층 세련된 형태로 재창출된 사실이 확인된다. 따라서 다른 지역 통속민요도 이와 유사한 음악 문화적 배경 아래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리고 통속민요는 20세기 전반과 후반의 음악적 양상이 다소 차이가 있어,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경기 통속민요로 「아리랑」, 「창부타령」, 「노랫가락」, 「청춘가」가 있고, 세마치나 굿거리장단에 경토리(솔, 라, 도', 레', 미') 또는 반경토리(라, 도', 레', 미', 솔')로 많이 구성된다.

강원도 통속민요에는 「강원도 아리랑」, 「한오백년」, 「정선아리랑」 등이 있고, 대개 세마치나 중모리장단에 메나리토리(미, 솔, 라, 도', 레')로 되어있다.

함경도 통속민요에는 「신고산타령」, 「궁초댕기」, 「애원성」 등이 있고, 대부분 굿거리나 볶는타령장단에 메나리토리로 되어있다.

경상도 통속민요에는 「밀양아리랑」, 「울산아가씨」, 「산유화가」, 「쾌지나칭칭나네」가 있고, 이 역시 거의 굿거리나 세마치장단에 메나리토리(미, 솔, 라, 도', 레')로 되어있다.

서도 통속민요에는 평안도의 경우 「수심가」, 「엮음수심가」, 「긴아리」, 「자진아리」, 황해도는 「산염불」, 「자진염불」,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몽금포타령」 등이 대표적이고, 수심가토리(레, 미, 솔, 라, 도')로 가장 많이 구성되지만 반수심가토리(라, 도', 레', 미', 솔')와 경토리(솔, 라, 도', 레', 미')도 종종 나타난다. 이 지역 민요에도 굿거리장단이 많이 쓰이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장단이 없거나 일정하지 않은 불규칙 장단에 맞춰 부르는 노래들이 많다.

전라도 통속민요로는 「강강술래」, 「진도아리랑」, 「육자배기」, 「흥타령」, 「농부가」, 「개구리타령」 등이 있고, 장단은 중모리나 중중모리가 많이 쓰이며 대부분 육자배기토리(미, 라, 시, 도')로 되어 있다.

제주도 통속민요에는 「오돌또기」, 「이야홍타령」, 「서우젯소리」 등이 있고, 경기민요와 토리가 유사하지만 조금 차이가 있다.

통속민요는 근세기 대표적인 민중의 유희요로, 지금도 한국음악을 전파하고 대중화시키는데 그 음악적 역할이 크다.

참고문헌

「경기 통속민요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김영운,『우리춤연구』10, 2009)
「경기 지역 방아타령계 음악 형성고」(손인애,『한국음악연구』36, 2004)
「민요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음악학적 논의」(김혜정,『한국민요학』7, 199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