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한재 ()

목차
불교
의례·행사
불교의 성자인 아라한(阿羅漢)을 신앙 대상으로 구복(求福)하면서 내우외환을 없애기 위해 행하는 불교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의 성자인 아라한(阿羅漢)을 신앙 대상으로 구복(求福)하면서 내우외환을 없애기 위해 행하는 불교의식.
내용

정법(正法)을 지키겠다고 발원한 16나한을 대상으로 한 16나한재와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에 열린 제1결집에 참가한 오백명의 상수비구(上首比丘)를 대상으로 하는 오백나한재가 있다.

이 의식의 절차는 나한을 의식도량으로 청하는 봉청(奉請)에 이어서 공양을 권하는 근공(勤供)을 행하게 된다. 그 뒤 여러 가지 목적에 따른 기원을 드리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16나한재와 오백나한재의 의식절차는 기본은 같으나 나한의 구분에 따른 봉청 절차만의 차이가 있다.

고려시대에는 이 의식이 왕실의 주도 아래 자주 개최되었는데, 그 목적은 기우(祈雨)와 구복, 외침의 극복 등을 기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려 때 이 재의 개설 장소는 대체로 보제사(普濟寺)ㆍ외제석원(外帝釋院)ㆍ왕륜사(王輪寺) 등이었다. 고려시대의 나한재를 도표화하면 [표] 와 같다.

[표] 高麗王室 主宰 羅漢齋

왕조년 서기 구 분 설재장소 비 고
문 종 5 1051 4 오백나한재 普 濟 寺
문 종 7 1053 9 나 한 재 神 光 寺 諸王 宰樞 侍臣과 향연
선 종 7 1090 10 오백나한재 神 穴 寺
숙 종 3 1098 1 나 한 재 外帝釋院
숙 종 4 1099 1 나 한 재 神 衆 院
숙 종 4 1099 3 나 한 재 王 輪 寺
숙 종 4 1099 4 나 한 재 普 濟 寺
숙 종 4 1099 9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숙 종 7 1102 10 오백나한재

예 종 16 1121 6 나 한 재 百官에게 命하여 祈雨함.
의 종 5 1151 7 오백나한재 普 濟 寺 文班 4품 이상과 武班 3품 이상 이 참여하여 祈雨함.
의 종 6 1152 9 나 한 재 外帝釋院
의 종 7 1153 3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의 종 21 1167 3 나 한 재 金 身 窟
의 종 23 1169 3 나 한 재 山 呼 亭 서경에 행차, 設齋疏文 지음.
명 종 3 1173 1 나 한 재 外帝釋院
명 종 6 1176 3 나 한 재 王 輪 寺
명 종 6 1176 4 오백나한재 普 濟 寺
명 종 6 1176 8 나 한 재 王 輪 寺
명 종 7 1177 8 나 한 재 外帝釋院
명 종 7 1177 10 나 한 재 王 輪 寺
명 종 8 1178 3 오백나한재 普 濟 寺
명 종 8 1178 4 나 한 재 王 輪 寺
신 종 6 1203 2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적의 섬멸을 기원
신 종 6 1203 8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원 종 3 1262 윤9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원 종 10 1269 4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충렬왕 8 1282 9 오백나한재 吉 祥 寺 공주 세자를 데리고 행차
충렬왕 10 1284 10 오백나한재 吉 祥 寺 공주와 함께 행차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석문의범(釋門儀範)』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