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한재 ()

목차
불교
의례·행사
불교의 성자인 아라한(阿羅漢)을 신앙 대상으로 구복(求福)하면서 내우외환을 없애기 위해 행하는 불교의식.
목차
정의
불교의 성자인 아라한(阿羅漢)을 신앙 대상으로 구복(求福)하면서 내우외환을 없애기 위해 행하는 불교의식.
내용

정법(正法)을 지키겠다고 발원한 16나한을 대상으로 한 16나한재와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에 열린 제1결집에 참가한 오백명의 상수비구(上首比丘)를 대상으로 하는 오백나한재가 있다.

이 의식의 절차는 나한을 의식도량으로 청하는 봉청(奉請)에 이어서 공양을 권하는 근공(勤供)을 행하게 된다. 그 뒤 여러 가지 목적에 따른 기원을 드리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16나한재와 오백나한재의 의식절차는 기본은 같으나 나한의 구분에 따른 봉청 절차만의 차이가 있다.

고려시대에는 이 의식이 왕실의 주도 아래 자주 개최되었는데, 그 목적은 기우(祈雨)와 구복, 외침의 극복 등을 기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려 때 이 재의 개설 장소는 대체로 보제사(普濟寺)ㆍ외제석원(外帝釋院)ㆍ왕륜사(王輪寺) 등이었다. 고려시대의 나한재를 도표화하면 [표] 와 같다.

[표] 高麗王室 主宰 羅漢齋

왕조년 서기 구 분 설재장소 비 고
문 종 5 1051 4 오백나한재 普 濟 寺
문 종 7 1053 9 나 한 재 神 光 寺 諸王 宰樞 侍臣과 향연
선 종 7 1090 10 오백나한재 神 穴 寺
숙 종 3 1098 1 나 한 재 外帝釋院
숙 종 4 1099 1 나 한 재 神 衆 院
숙 종 4 1099 3 나 한 재 王 輪 寺
숙 종 4 1099 4 나 한 재 普 濟 寺
숙 종 4 1099 9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숙 종 7 1102 10 오백나한재

예 종 16 1121 6 나 한 재 百官에게 命하여 祈雨함.
의 종 5 1151 7 오백나한재 普 濟 寺 文班 4품 이상과 武班 3품 이상 이 참여하여 祈雨함.
의 종 6 1152 9 나 한 재 外帝釋院
의 종 7 1153 3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의 종 21 1167 3 나 한 재 金 身 窟
의 종 23 1169 3 나 한 재 山 呼 亭 서경에 행차, 設齋疏文 지음.
명 종 3 1173 1 나 한 재 外帝釋院
명 종 6 1176 3 나 한 재 王 輪 寺
명 종 6 1176 4 오백나한재 普 濟 寺
명 종 6 1176 8 나 한 재 王 輪 寺
명 종 7 1177 8 나 한 재 外帝釋院
명 종 7 1177 10 나 한 재 王 輪 寺
명 종 8 1178 3 오백나한재 普 濟 寺
명 종 8 1178 4 나 한 재 王 輪 寺
신 종 6 1203 2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적의 섬멸을 기원
신 종 6 1203 8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원 종 3 1262 윤9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원 종 10 1269 4 오백나한재 普 濟 寺
충렬왕 8 1282 9 오백나한재 吉 祥 寺 공주 세자를 데리고 행차
충렬왕 10 1284 10 오백나한재 吉 祥 寺 공주와 함께 행차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석문의범(釋門儀範)』
집필자
홍윤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