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정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목판본. 『남판윤유사(南判尹遺事)』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양사준의 형인 양사언(楊士彦)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남판윤유사』의 편자가 이 작품을 양사언의 작품으로 오인한 데서 와전된 것이라고 본다.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이 일어나자 양사준이 우도방어사 김경석(金景錫)의 막하에 들어가, 남정군과 함께 전라남도 영암에 내려가서 왜구를 물리치고 지은 가사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65구이며, 3·3조, 3·4조, 2·4조, 4·4조 등의 다양한 음수율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양사준이 태조의 창업 이후 200년 동안 전란을 모르다가 왜구의 침략으로 피폐하여진 백성의 상태를 살피고 그 전란을 평정하려고 영암에 내려옴과, 평정과정을 읊은 다음에 승전의 공을 선왕과 명종에게 돌리고 마지막에 충심과 우국을 노래하였다.

왜구에 시달리고 그들과 싸워 이겨낸 것을 과장하여 표현한 항왜의 승전가이다. 박인로(朴仁老)의 「태평사」·「선상탄」보다 앞서는 전쟁가사로서 이들 작품과 쌍벽을 이룰만한 사실적인 작품이다.

참고문헌

「양사준(楊士俊)의 남정가신고(南征歌新考)」(이상보, 『국어국문학』 62·63, 국어국문학회, 1973)
「남정가(南征歌)에 대하여」(김동욱, 『인문과학』 9,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