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호신사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영조 · 정조 연간에 박이화(朴履和)가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영조 · 정조 연간에 박이화(朴履和)가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유저인 『구계집(龜溪集)』에 실려 전하는 것과 한글사본으로 전하는 것이 있다.

낭호는 낭주(朗州 : 지금의 靈巖)와 서호(西湖 : 西鳩林에 있음.)에서 딴 명칭으로, 오늘날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구림(鳩林)을 말한다. 2음보 1구로 헤아려 전체 234구의 정격가사이다. 3·4조와 4·4조가 지배적이며, 4·5조가 한 구 있다.

내용

작품의 첫부분과 끝부분은, “호남에 가려지(佳麗地)은/랑셔(朗西)의 ᄌᆡ일이라/바우가 신령ᄒᆞ니/읍호(邑號)을 령암(靈岩)이라/월출산(月出山) 억만장(億萬丈)이/벽락(碧落)의 소사올나/쳔황봉(天皇峯)이 셔남(西南)ᄒᆞ고/쥬지봉(朱芝峯)이 남셔(南西)ᄒᆞ니/운긔(雲氣)는 양양(揚揚)ᄒᆞ고/산ᄉᆡ(山勢)는 긔졀(秀絶)ᄒᆞ다/……ᄇᆡᆨ아(伯牙)의 거문고로/산슈곡(山水曲)을 화답(和答)ᄒᆞ니/지음(知音)하난 우리 벗님/어이 그리 더뒤던고/이팔청춘(二八靑春) 아동들아/랑호신사 불너보ᄉᆡ/여수ᄉᆡ월(如水歲月) ᄉᆡᆼ각ᄒᆞ야/아ᄒᆡ 경ᄀᆡ(警戒) 갈라치자”(필사본)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지은이의 고향인 전라남도 영암 구림의 주변경치를 노래하면서 역사·인물·향속(鄕俗) 등을 자세하게 그려, 그 고장 사람들을 교화하기 위하여 지은 교훈적인 가사이다.

참고문헌

『구계집(龜溪集)』
『한국가사선집』(이상보, 민속원, 1997)
「구계박이화(龜溪朴履和)의 가사고(歌辭攷)」(정익섭, 『한국언어문학』 2, 한국언어문학회, 196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