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서 ()

목차
관련 정보
농정서
농정서
산업
문헌
농정 · 수리 · 양어 · 원예 · 축산 등 농업 전반에 관하여 서술한 농업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농정 · 수리 · 양어 · 원예 · 축산 등 농업 전반에 관하여 서술한 농업서.
서지적 사항

5책. 필사본.

내용

농정·수리·작물·원예·축산·양잠·양어·양봉 등에 관한 내용을 주로 기술한 책이다.

1책 후반부에서 2책 전반부까지의 약 100면이 자구(도해 포함) 하나 다름이 없이 『수차도설(水車圖說)』·『양수기제조법(揚水機製造法)』·『육해법(陸海法)』과 공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농정서의 저자는 『육해법』을 저술한 최한기(崔漢綺)로 믿어진다.

또한 저술연대는 역관 오경석(吳慶錫)이 최초로 『양수기제조법』을 도입한 것에 비추어, 그가 처음 청을 다녀온 1853년 이후로 추정된다.

수록한 내용을 보면 제1책의 서두에는 제가잡론(諸家雜論)을 풀이하고 있는데, 관자(管子)·후직(后稷)·왕정(王楨)·임응(林應)·현호(玄扈) 등의 설을 이용하여 농시(農時)·변토(辨土)·토리(土理)·농상(農桑)·정전고(井田考)·전제(田制) 등을 농학원론식으로 풀이하면서, 수리(水利)에서는 관개도보(灌漑圖譜)와 농기보(農器譜)가 부기되어 있다.

제2책은 수법(水法)·태서수법(泰西水法)·수법부여(水法附餘)·비황정(備荒政) 등이 풀이되고 있는데, 5종의 수고도(水庫圖:저수지)와 각종 양수기의 도해설명 및 제조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 용수원 개발의 적지 선정·수질판별법 등이 있으며, 흉년이 들었을 때의 황정(荒政)의 방법이 수록되어 있다.

제3책에는 농사영치(農事營治)와 농사점후(農事占候) 등이 있는데, 비료 마련·춘추경(春秋耕)·기상 예찰과 농시 등이 풀이되어 있다.

제4책에는 곡부(穀部)에서 각종 농작물, 과부(蓏部)에서 각종 과채(果菜)와 엽채(葉菜), 과부(果部)에서 각종 과일, 종식잡종(種植雜種)에서 차나무·쪽 등의 각종 특용작물의 재배·저장·이용 등에 관하여 기록하였다. 제5책에는 목양(牧養)에서 6축의 사양관리, 양잠법(養蠶法)에서 누에 기르기와 실뽑기 등이 언급되어 있다.

이 책은 작물의 배열이나 작목간의 논술의 분량 등에서 균형이 맞지 않아 정리가 덜 된 감이 있을 뿐 아니라, 곳곳에 초서를 쓰고 또 같은 책 안의 상·하 구분 표시 등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여서, 저자가 초고본(草稿本)으로 작성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이 농서는 개화기 직전의 농업기술 이해와 농학사 연구에 좋은 참고서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농림수산고문헌비요(農林水産古文獻備要)』(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오경석의 개화활동과 개화사상」(신용하, 『역사학보』 107, 1985)
관련 미디어 (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