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저종식법 ()

목차
관련 정보
감저종식법
감저종식법
산업
문헌
고구마의 재배 · 이용 · 저장법 등에 관하여 저술한 농업서. 지도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구마의 재배 · 이용 · 저장법 등에 관하여 저술한 농업서. 지도서.
내용

1책. 필사본. 저자를 강필리(姜必履)라고 주장하는 측도 있으나, 이 책은 표지의 제목이 지워져 있어 원래의 책이름을 알 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서문과 발문도 없기 때문에 저자와 편찬연대는 분명하게 밝힐 수가 없다.

이 책은 고구마재배법, 구황식물의 이용법, 목양법(牧養法)·수장과실법(收藏果實法)·조국(造麴)·양주(釀酒)·식기(食忌)·조장(造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초 이 책은 고구마재배법만을 수록하였다가 그 밖의 것을 추가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은 추가된 부분의 필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고구마재배법에는 먼저 고구마의 여러 가지 이름, 즉 주저(朱藷)·번저(番藷)·홍산약(紅山藥) 등이 소개된 뒤, 이어서 고구마의 성질·형태·색·맛·용도·수확량 등의 일반적인 특징이 설명되어 있다.

또한, 고구마는 ① 면적당 수확량이 많다, ② 맛이 좋다, ③ 사람의 몸에 좋으며, 줄기가 땅을 덮고 뿌리가 내림으로써 풍우가 땅을 침식하지 못한다, ④ 흉년에 쌀을 대신할 수 있다, ⑤ 술을 담글 수 있다, ⑥ 저장하여 여러 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⑦ 생(生)·숙(熟) 어느 경우로도 먹을 수 있다, ⑧ 충해에 강하고 김매기에 공이 덜 든다는 등 13개 항목의 장점을 들어 이를 권장하고 있다.

그리고 재배와 저장방법에 대해서는 종법(種法)·경지(耕地)·점지법(占地法)·옹절법(壅節法)·전경분종법(剪莖分種法)·단별근묘법(斷別根苗法)·장종법(藏種法) 등 파종에서부터 수확 후 저장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자세하게 설명한 부분은 장종법인데, 이것은 고구마의 저장이 쉽지 않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여기에 소개된 저장방법으로는 땅에 묻어 저장하는 법, 볏짚에 싸서 온방에 저장하는 방법 등이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는 중국과 일본에서의 고구마재배에 관하여 전해지고 있는 이야기, 통신사가 본 대마도에서의 재배현황, 표류해 온 남경인(南京人)의 고구마에 대한 설명, 일본에 표착(漂着)하였던 제주어민이 그곳에서 본 고구마의 이용과 효과 등이 서술되어 있으며, 이어서 고구마재배의 필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어 있다.

이 책은 고구마재배의 기술적 변천을 밝히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조선후기농업사연구』(김용섭, 일조각, 1971)
「감저전파고(甘藷傳播考)」(손진태, 『진단학보』 13, 194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