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량행 ()

목차
한문학
작품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내용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 그의 ≪옥봉시집 玉峯詩集≫ 하권에 실려 있다. 이 시는 작자가 을묘왜란의 참혹상을 직접 목격하고 난 뒤 뒷날 그 때를 회상하면서 지은 작품이다.

이 시의 구성을 보면, 도입부에서 달량성의 폐허의 모습과 그 당시 작자의 감정상태를 서술하였다. 그는 난리를 겪고 난 뒤의 자신의 마음이 오래도록 죽어 있는 것 같다고 하면서, 전쟁이 가져왔던 충격이 심하였음을 묘사하였다.

전개부에서는 왜란 초기의 전황을 소개하면서 무고하게 희생되고 고통을 당하였던 민중들의 생활을 표출시키고 있다. 이어서 왜란 말기가 다가옴에 따라서 관군을 애타게 기다리던 안타까운 심정을 그려내었다.

정리부(整理部)에서는 전란 후의 느낌으로, 왜구로부터 받았던 치욕에 대한 분노를 구호(九湖)의 깊은 물이 마르고 월출산(月出山)의 높은 봉우리가 깎여 없어져 버린다 하여도 씻을 수 없을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끝에서 관군이 늦게 도착한 것에 대한 원망을 표현하여 중앙지배권력의 무기력함을 비판하였다. 이 시는 을묘왜란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양사준(楊士俊)의 <남정가 南征歌>와 좋은 대조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옥봉시집(玉峯詩集)』
『한국문학통사』 2(조동일, 지식산업사, 1983)
「손곡 이달과 삼당시」(이종호,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0)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