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 ()

동문선 / 대동강
동문선 / 대동강
한문학
작품
고려 중기에 정지상(鄭知常)이 지은 한시.
이칭
이칭
송우인, 대동강
정의
고려 중기에 정지상(鄭知常)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로 ‘대동강(大同江)’이라고도 하고, ‘송우인(送友人)’이라고도 한다. 『동문선』 권9에 ‘송인’이라는 제명을 가진 정지상의 오언율시가 있기 때문에 언급한 것이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동문선』 권19, 『기아(箕雅)』 권2, 『대동시선』 권1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송인」의 내용은 대동강변에서 친구를 보내며 노래한 것이다. “대동강은 어느 때나 마를꼬, 이별의 눈물이 해마다 물결을 더하네(大同江水何時盡 別淚年年添綠波).”라고 하여 석별의 정을 나타내었다.

한시에 있어서도 인간의 애정은 소중한 것이기 때문에 그 표현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우정이다. 이것은 송별의 아쉬움을 노래할 때에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때로는 사랑하는 사람들끼리 주고받는 이성애(異性愛)의 표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 「송인」에서 떠나 보내는 대상이 되고 있는 ‘우인’은 이러한 의미에서 사랑하는 임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송인」에서 ‘송군남포(送君南浦)’와 ‘하시진(何時盡)’은 왕유(王維)와 노윤(盧允) 같은 당인(唐人) 및 신라말의 견당유학생(遣唐儒學生)이었던 박인범(朴仁範) 등에 의하여 이미 사용된 시어이다.

특히 ‘첨록파(添綠波)’는 원래 ‘첨작파(添作波)’였던 것을(『파한집(破閑集)』에 의함.) 뒷날 이제현(李齊賢)이 ‘첨(添)’과 ‘작(作)’은 그 뜻이 중복되는 것이라 하였으므로(白雲小說), ‘작(作)’이 ‘녹(綠)’으로 고쳐진 것이다. 그러나 이 결구의 ‘별루연년첨록파’는 명구로 알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정지상의 시는 만당(晩唐)의 풍(風)이 있다. 웅심(雄深)한 거작은 적다. 그러나 어운(語韻)이 청화(淸華)하고 구격(句格)이 호일(豪逸)하다는 평이 있다. 「송인」은 시상이 참신하고 아름다워 만고의 절조(絶調)로 꼽혀 왔다. 후세 사람의 차운시가 많기로도 유명하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동인시화(東人詩話)』
『한국한문학강해』(민병수, 일지사,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민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