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범천 ()

목차
관련 정보
지장시왕도
지장시왕도
불교
개념
33천 가운데 색계 초선천의 왕으로 불교의 호법신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범왕 · 범천.
이칭
이칭
범왕(梵王), 범천(梵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33천 가운데 색계 초선천의 왕으로 불교의 호법신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범왕 · 범천.
내용

‘범왕(梵王)·범천(梵天)’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33천(天) 중 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왕이다. 원래 힌두교의 신이었으나 불교가 일어나면서 불교적 선신(善神)으로 수용되었다. 불교에서는 늘 제석천(帝釋天)과 짝을 이루며 불교를 옹호하는 신으로 묘사된다.

『삼국유사』의 「어산불영(魚山佛影)」에는 신라 때 어산에 만어사(萬魚寺)를 짓고 여러 불상을 조성하였는데 그때 대범천도 봉안하였으며, 부처님이 이곳에서 독룡(毒龍)을 교화할 때 대범천이 나타나서 용과 나찰(羅刹)뿐만이 아니라 모든 중생들에게 그 가르침을 줄 것을 부탁하였다고 한다. 석굴암(石窟庵)에는 이 고사를 따라 수려한 대범천상이 조각되어 있다. 현존하는 유일한 이 대범천상은 천인(天人)의 모습에 육감적인 자태로 묘사된 걸작이다.

대범천은 우리나라 사찰에 봉안되어 있는 각종 탱화에 묘사된 수호신들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신중탱화(神衆幀畫))에서는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의 사찰』 2 -석굴암(石窟庵)-(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