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의 학부.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전기
공포 시기
고려 전기
시행 시기
고려시대
폐지 시기
고려 말기
시행처
고려왕조
내용 요약

대학은 고려시대 최고의 교육 기관인 국자감 유학부의 하나이다. 인종 대에 정해진 규정에 따르면 문·무 5품 이상의 자·손에게 입학 자격이 부여되었으며, 정원은 3백 명이었다. 대학은 국자학·사문학과 마찬가지로 『효경』과 『논어』를 필수 과목으로 이수한 후 여러 유교 경전 중에서 선택하여 단계별로 이수하게 하였다. 대학의 학관(學官)으로는 대학박사·대학조교가 있었는데, 경학에 뛰어나고 언행이 독실한 자를 선발하였다.

정의
고려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의 학부.
제정 목적

인종 대에 주1 진흥책의 일환으로 식목도감(式目都監)에서 상정한 국자감(國子監) 학식에 의하면, 국자감에는 유교 경전을 교육하는 국자학(國子學) · 대학(大學) · 사문학(四門學)과 잡업을 가르치는 율학(律學) · 서학(書學) · 산학(算學) 등 여섯 개의 학부가 있었고, 이를 경사 주10이라 하였다.

내용

입학 자격과 정원

국자학·대학·사문학은 교과 과정 등이 모두 같고 단지 입학 자격에 차이가 있었다. 대학에는 문무 5품 이상 관리의 아들과 손자, 3품 이상 관리의 증손자, 주2 3품 이상으로 봉작이 있는 사람의 아들이 입학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국자학·대학·사문학에는 ① 잡로에 관계되거나 공(工)·상(商)·악(樂)에 이름이 오른 천사자(賤事者), ② 주3 또는 주4 간의 금혼을 어긴 사람, ③ 주5가 바르지 않은 사람, ④ 악역(惡逆)을 범하고 귀향(歸鄕)을 당한 사람, ⑤ 천인, 향·부곡인 등의 자손과 자신이 스스로 주6를 저지른 사람 등은 입학이 허락되지 않았다.

정원은 『고려사(高麗史)』 선거지(選擧志)에 국자학·대학·사문학 각 3백 인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모두 합쳐 3백 인이었을 것이라는 추정에 의하면 대학의 정원은 1백 명이었을 것이다.

교육 과정 및 교관

교육 과정은 국자학·대학·사문학 모두 『효경(孝經)』『논어(論語)』를 1년 동안 이수한 뒤, 주11·『공양전(公羊傳)』[^12]·『곡량전(穀梁傳)』[^13]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2년 반 동안 이수하고, 이어 『주역(周易)』·『모시(毛詩)』[^14]· 『주례(周禮)』· 『의례(儀禮)』 가운데 하나를 2년 동안 이수하며, 마지막으로 『예기(禮記)』주15 가운데 하나를 3년 동안 이수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여가에는 산학(算學)주16도 익히고 하루에 한 장 분량의 글씨 연습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주8·『설문(說文)』[^17]·『자림(字林)』·『삼창(三倉)』[^9]· 『이아(爾雅)』 등 자전류를 읽게 하였다.

교관으로는 성종 대에 대학박사 · 대학조교를 두었고, 문종 대에 대학박사의 품계를 종 7품, 정원을 2인으로 하였다. 대학박사 · 대학조교는 모두 경학에 뛰어나고 언행이 독실하여 모범이 될 만한 사람을 신중하게 선발하였다.

한편 인종 대에 상정(詳定)된 국자감의 여러 가지 학식이 실제로 적용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신천식, 『고려교육제도사연구』(형설출판사, 1983)
신천식, 『고려교육사연구』(경인문화사, 1995)
박찬수, 『고려시대 교육제도사 연구』(경인문화사, 2001)
박용운, 『고려사 선거지 역주』(경인문화사, 2012)

논문

민병하, 「고려 「학식」고」(『성균관대논문집』 11, 1966)
주석
주1

나라에서 세운 학교나 학원 따위의 교육 기관. 우리말샘

주2

작호(爵號)만 있고 직무상의 일이 없던 벼슬. 우리말샘

주3

대공(大功)을 입어야 하는 친척. 종형제, 출가 전의 종자매, 중자부, 중손, 중손녀, 질부, 남편의 조부모, 남편의 백숙부모, 남편의 질부 등을 통틀어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소공(小功)을 입어야 하는 친척. 종조부모, 재종형제, 종질, 종손 등을 통틀어 이른다. 우리말샘

주5

집안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적 규범. 우리말샘

주6

개인이 사사로이 저지른 죄. 우리말샘

주7

중국 주나라의 좌구명이 지었다고 전하는 역사책. ≪좌씨전≫에 누락된 춘추 시대의 여덟 나라인 주(周), 노(魯), 제(齊), 진(晉), 정(鄭), 초(楚), 오(吳), 월(越)의 역사를 적었다. 21권. 우리말샘

주8

중국 주나라의 좌구명이 지었다고 전하는 역사책. ≪좌씨전≫에 누락된 춘추 시대의 여덟 나라인 주(周), 노(魯), 제(齊), 진(晉), 정(鄭), 초(楚), 오(吳), 월(越)의 역사를 적었다. 21권. 우리말샘

주9

중국 한(漢)나라 초기의 자서(字書)인 ≪창힐편(蒼詰篇)≫, ≪원력편(爰歷篇)≫, ≪박학편(博學篇)≫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고려 시대에, 국자감에 있던 여섯 학과. 국자학(國子學), 대학(大學), 사문학(四門學), 산학(算學), 서학(書學), 율학(律學)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1

유학(儒學)에서 공자가 요임금과 순임금 때부터 주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정사(政事)에 관한 문서를 수집하여 편찬한 책.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이다. 20권 58편. 우리말샘

주12

중국 제나라의 공양고(公羊高)가 쓴 ≪춘추≫의 주석서. ≪춘추≫를 역사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였으며, ≪좌씨전≫, ≪곡량전≫과 더불어 ‘춘추삼전’이라고 한다. 11권. 우리말샘

주13

중국 노나라 때에, 곡량적(穀梁赤)이 유교의 경전인 ≪춘추≫를 주석한 책. ≪좌씨전≫, ≪공양전≫과 더불어 ‘춘추삼전’이라 한다. 11권. 우리말샘

주14

‘시경’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 때의 모형이 전하였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우리말샘

주15

중국 노나라의 좌구명이 ≪춘추≫를 해설한 책. 30권. 우리말샘

주16

그 시대에 중요하게 다룰 일에 대한 계책. 우리말샘

주17

중국 후한 때, 허신이 편찬한 자전. 문자학의 기본적인 고전의 하나로, 한자 9,353자를 수집하여 540부(部)로 분류하고 육서(六書)에 따라 글자의 모양을 분석ㆍ해설하였다. 15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