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 (←Jesus)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단체
1962년, 박병훈(朴炳勳) 목사 등에 의해 설립된 한국장로교회의 한 교단.
이칭
이칭
호헌측
약칭
예장 호헌측
단체
설립 시기
1952년
설립자
박병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한예수교장로회는 1962년 박병훈(朴炳勳) 목사 등에 의해 설립된 한국장로교회의 한 교단이다. 1959년 예장 통합과 분리된 예장 합동이 국제기독교협의회(ICCC)와의 관계를 단절하자 이에 반발한 인사들이 주도하여 세웠다. 이들은 세계교회 협의회로 대변되는 에큐메니칼운동을 용공 세력으로 비판하는 한편 국제 기독교 협의회의 지원을 받으면서 근본주의 신학을 개진하였다. 그 후 세대 갈등을 비롯한 여러 요인으로 분열을 거듭하여 현재 여러 교단으로 나뉘어 있다.

목차
정의
1962년, 박병훈(朴炳勳) 목사 등에 의해 설립된 한국장로교회의 한 교단.
내용

약칭 예장 호헌측이라고도 한다. 1962년, 박병훈 목사가 중심이 되어 대한예수교장로회 호헌 총회라는 이름으로 교단을 설립했다.

1953년, 김재준 목사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장로회가 분립할 무렵 박병훈은 ‘전국 장로교회에 고함’이라는 성명서를 발표하여 극우 신앙 노선의 대변자로 부상하였다. 그는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전국을 순행하면서 세계교회협의회(WCC) 반대 유세를 하였다.

1959년, 주1를 지지하는 에큐메니칼파와 복음동지협의회(NAE)를 지지하는 복음주의파 간의 논쟁으로 예장 통합 측과 예장 합동 측이 분리되었을 때, 미국과 호주 선교사들은 예장 통합 측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선교부의 재정적 지원이 끊긴 예장 합동 측은 미자립 교회와 총회 · 노회에 재정적 압박을 받게 되었고, 그에 대한 타개책으로 국제기독교협의회(ICCC)의 지원을 기대하는 세력들이 나타났다.

1960년, 예장 합동 제45회 총회는 ‘총회로나 노회로나 교회로나 개인으로나’ 국제기독교협의회 회원이 되지 않고 단지 ‘우호적 관계’만 유지한다고 공식 결의하였다. 1961년 부산에서 열린 제46회 총회는 친선 관계마저 단절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그러자 박병훈을 중심으로 한 국제기독교연합회 지지 세력들은 전통적 법통 신앙 노선의 수호를 내세워 별도의 모임을 개최하였다. 즉 1961년 12월 7일 서울 평안교회에서 대의원 김윤찬 목사 등 25명의 총대들과 회집하여 가칭 ‘보수 신앙 수호 동지회’를 결성하였다. 그리고 국제 기독교 협의회 가입을 전제로 ① 세계적인 비신앙적 용공 운동 배격, ② 국제적 보수 신앙 유대 강화, ③ 대한 예수교 장로회 신앙 노선 전통 확인, 이 세 가지를 목표로 내세우면서 총회의 개혁을 요구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1962년 대구 애양교회에서 호헌 총회를 정식으로 개최한 이들은 에큐메니컬운동과의 효과적인 투쟁을 위하여 국제기독교협의회에 가입할 것을 재천명하였다. 나아가 옛신앙 수호, 세계교회협의회 반대, 신앙과 생활이 다른 선교부와 교제 단절, 주2 신학의 수호 등을 내세웠다. 그 뒤 국제기독교협의회의 재정적 지원 아래 대구신학교를 육성, 호헌총회신학교로 육성하는 한편 극우운동을 전개하면서 교세 확장을 꾀하였다.

1963년 호헌 총회 부회장을 역임하던 최성곤(崔成坤) 등이 1960년 장로교 분열 이후 중립 노선을 지키고 있던 교회들을 규합하여 별도로 보수총회를 결성, 분리해 나갔다. 1966년에는 3차에 걸쳐 총회장을 역임한 박병훈을 교단의 실질적 대표로 남게 하려는 움직임이 있자 신임 총회장 송재묵(宋在默)이 호헌 총회를 탈퇴하였다. 이때 국제기독교협의회가 송재묵을 지지하게 되자 호헌총회는 국제기독교협의회와의 우호 관계를 단절하게 되었다.

이후 외부원조가 없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다가 1977년 1월 대한예수교장로회(총연)에서 운영해 오던 평양신학교와의 합동을 계기로 같은 해 3월 두 교단이 통합, 교단 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라고 하였다. 1979년 제63차 총회에서 박병훈이 공로목사로 추대되고 신응균(申應均)이 총회장에 선출되자 지금까지 다른 교단에 대하여 폐쇄적 태도를 시정하려는 소장파 목사들과 교단을 이끌어 온 박병훈 등 노장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제64차 총회에서 또 한 차례 분열이 생겼다.

세계선교교회에서 별도로 총회를 소집한 박병훈 측은 대한예수교장로회 호헌 총회라는 옛 명칭으로 다시 환원하였고, 신응균 측은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에 계속 남았다. 그 후 타교단으로 흡수되거나 새로운 세력이 호헌 총회 명칭을 사용하는 등의 주3 과정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현재 호헌 명칭을 사용하는 교단은 극소수로 남았고 그 교단의 정체성도 1960년대 초반의 역사성을 잇는지조차 불명확한 상태다.

참고문헌

단행본

기독교대연감편찬위원회, 『기독교대연감』 (기독교문사, 1993)
채기은, 『한국교회사』 (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한국종교사회연구소, 『한국종교연감』 (고려한림원, 1997)
『한국종교편람』 (문화공보부, 1984)

논문

김의선, 「고봉 김치선 목사의 신학사상과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주석
주1

1948년에 암스테르담에서 결성된 개신교의 초교파(超敎派) 국제 협력 조직. 20세기 초에 시작된 기독교회의 통일 운동을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본부는 제네바에, 지국은 뉴욕에 있다. 우리말샘

주2

제일 차 세계 대전 후에 자유주의 신학 및 세속화한 생활에 대항하여 미국에서 일어난, 개신교 내의 보수적인 신학 운동. 성경을 절대화하여 모든 내용을 문자 그대로 믿는 것이 신앙의 근본이라고 주장하고, 진화론과 같은 근대적인 합리주의를 배격하였다.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확대되어 이슬람 근본주의, 힌두 근본주의 따위의 제반 종교에 대한 용어로도 사용한다. 우리말샘

주3

헤어졌다가 만나고 모였다가 흩어짐. 우리말샘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