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산 ()

목차
의약학
개념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옹저와 종창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옹저와 종창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피부·근육의 어떤 부위에 작은 뾰루지가 생겨 차츰 악화하여 곪는 것을 옹저 또는 종창이라고 한다. 종창은 양성(良性)과 악성(惡性)으로 구분하며, 또한 유명·무명·종창 등 가짓수가 많다. 옹·저·종(腫)·양(瘍)·적(積)·취(聚)·벽(癖)·장담(腸覃)·영류(癭瘤)·정(疔)·암(癌) 등이 모두 창(瘡)에 속하며, 암종(癌腫)도 악성 종양(腫瘍)에 속한다.

이에 대한 원인을 금(金)·원(元)시대 사대의가(四大醫家)의 한 사람인 주단계(朱丹溪)는 열독(熱毒)이 피부조직 내 울체(鬱滯)하여 생기는 염증이라 하였다. 화를 자주 내어 심장에 화기(火氣)가 지나치게 많이 차면 이 병이 생기고, 또 혈(血)은 혈관에서 돌고 기(氣)는 맥외(脈外)에서 순행(循行)하는데, 한습(寒濕)이 울체하여 기혈(氣血)이 순행하지 못하면 열이 나서 옹저가 생긴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대황산은 오직 피하조직 안에서 생기는 얼굴[面部]·목[頸部]·등[背部]·팔다리[四肢]와 근육에 가장 많이 쓰이고, 엉덩이[臀部]·겨드랑이[腋下]·어깻죽지[肩胛部] 혹은 머리 부위에도 유효하다.

처방은 대황(大黃)·황금(黃芩)·행인(杏仁)·승마(升麻)·조각(皁角)·백렴(白蘞)·백지(白芷) 등의 약재를 같은 비율로 가루를 내어 술로 복용한다.

참고문헌

『사상방약합편(四象方藥合編)』(권영식, 행림서원, 1974)
『사상진료의전(四象診療醫典)』(이태수, 행림서원, 1948)
집필자
홍순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