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산 ()

목차
의약학
개념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옹저와 종창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옹저와 종창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피부·근육의 어떤 부위에 작은 뾰루지가 생겨 차츰 악화하여 곪는 것을 옹저 또는 종창이라고 한다. 종창은 양성(良性)과 악성(惡性)으로 구분하며, 또한 유명·무명·종창 등 가짓수가 많다. 옹·저·종(腫)·양(瘍)·적(積)·취(聚)·벽(癖)·장담(腸覃)·영류(癭瘤)·정(疔)·암(癌) 등이 모두 창(瘡)에 속하며, 암종(癌腫)도 악성 종양(腫瘍)에 속한다.

이에 대한 원인을 금(金)·원(元)시대 사대의가(四大醫家)의 한 사람인 주단계(朱丹溪)는 열독(熱毒)이 피부조직 내 울체(鬱滯)하여 생기는 염증이라 하였다. 화를 자주 내어 심장에 화기(火氣)가 지나치게 많이 차면 이 병이 생기고, 또 혈(血)은 혈관에서 돌고 기(氣)는 맥외(脈外)에서 순행(循行)하는데, 한습(寒濕)이 울체하여 기혈(氣血)이 순행하지 못하면 열이 나서 옹저가 생긴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대황산은 오직 피하조직 안에서 생기는 얼굴[面部]·목[頸部]·등[背部]·팔다리[四肢]와 근육에 가장 많이 쓰이고, 엉덩이[臀部]·겨드랑이[腋下]·어깻죽지[肩胛部] 혹은 머리 부위에도 유효하다.

처방은 대황(大黃)·황금(黃芩)·행인(杏仁)·승마(升麻)·조각(皁角)·백렴(白蘞)·백지(白芷) 등의 약재를 같은 비율로 가루를 내어 술로 복용한다.

참고문헌

『사상방약합편(四象方藥合編)』(권영식, 행림서원, 1974)
『사상진료의전(四象診療醫典)』(이태수, 행림서원, 194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