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원민란 ()

목차
근대사
사건
1892년(고종 29) 함경도 덕원에서 일어난 민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92년(고종 29) 함경도 덕원에서 일어난 민란.
내용

봉건체제에 의한 수탈이 점차 가혹해지고, 이에 대한 민중의 저항이 계속되는 가운데 덕원부사 김문제(金文濟)가 공금을 유용하고 이를 민간으로부터 징수하였다.

이에 1892년 봄 전 주서(注書) 엄익조(嚴益祚)가 그의 종손 엄기태(嚴基泰), 장의(掌議) 홍명조(洪命祚) 등과 함께 민폐 교정을 내걸고 사람을 모아 관에 쳐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이도근(李道根)·조영달(趙永達)·차남원(車南元), 부사의 잘못된 징수 처사를 마땅하지 않게 여기고 있던 강창호(姜昌浩)·조기섭(趙基燮) 등이 적극 참여하였다.

관에 들어간 난군은 부사를 응징하고 인가를 불태우고 훼손하였는데, 이 때 고을에 있는 장교 가운데 우두머리인 수교(首校)와 관아의 수석아전인 수리(首吏)는 도망을 하였다.

민란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조정에서는 함경도관찰사로 하여금 엄익조를 엄형한 뒤 먼 섬에 유배, 홍명조와 엄기태는 엄형 후 원지정배(遠地定配), 강창호·조기섭은 엄형원배(嚴刑遠配), 민란의 과정에서 집을 헐어버린 조석준(趙石俊)은 형배(刑配)하게 하였다.

민란을 막지 못한 수향(首鄕) 김기호(金基灝)와 민란이 일어나자 도망을 간 수교 이계조(李啓祚), 수리 김경순(金京順)은 본영(本營)으로 하여금 죄의 경중을 가려 처리하게 하였다.

탐관오리 김문제는 의금부로 하여금 나처(拿處)하게 하였으며, 김문제 밑에서 일을 천단하고 격변(激變)을 양성(釀成)한 겸인(兼人) 김재식(金載植)은 형조로 하여금 엄형한 뒤 강서현(江西縣)으로 유배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일성록(日省錄)』
『고종실록(高宗實錄)』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한국사(韓國史)』-최근세편(最近世篇)-(이선근, 진단학회, 1961)
「고종조(高宗朝)의 민란연구(民亂硏究)」(박광성, 『전통시대(傳統時代)의 민중운동(民衆運動)』 하(下), 풀빛,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