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문사 ()

근대사
단체
조선 말기 대구에서 설립된 회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말기 대구에서 설립된 회사.
개설

사장은 김광제(金光濟), 부사장은 서상돈(徐相敦)으로 사내에는 광문사문회(廣文社文會 또는 廣文社會)가 있었다. 1906년 6월부터 대한매일신보 대구 지사의 사무도 맡아서 신문의 구독신청 · 배부 · 수금업무를 취급하였다.

기능과 역할

1907년 2월 광문사문회는 특별회를 소집하여 명칭을 대동광문회(大東廣文會)로 개칭하고 회장에 박해령(朴海齡), 부회장에 사장인 김광제를 추대하였다. 또한 일본 동아동문회(東亞同文會)와 청나라 광학회(廣學會)와의 친목 도모 및 교육의 확장을 꾀하였다.

그런데 이 무렵 서상돈 · 김광제 등 회사 간부들은 1천 3백여만 원이나 되는 국채를 상환하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게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앞의 특별회에서 광문사문회의 개편 문제를 처리한 뒤 서상돈이 국채보상운동을 제안하였다.

참석자들이 모두 동의하자 김광제가 즉시 실현하자고 다시 제의하였다. 참석자들은 그 자리에서 담배를 끊기로 결의하고 국채보상금 2천여 원을 출연하면서 취지를 널리 알리기로 하였다.

사장 · 부사장 · 대동광문회장 · 부회장과 회원 장상철(張相轍) · 강영주(姜永周) · 심정섭(沈廷燮) · 김우근(金遇根) · 서병오(徐丙五) · 윤하선(尹夏璿) · 정재덕(鄭在悳) · 이종정(李鍾楨) · 길영수(吉永洙) · 이우열(李遇烈) · 강신규(姜信圭) · 정규옥(鄭圭鈺) · 추교정(秋敎廷)의 명의로, 2천만 동포가 담배를 3개월만 끊으면 국채를 갚을 수 있으니 담배를 끊어 절약한 담배 값을 모아 국채를 상환하자는 내용의 ‘국채보상취지서’를 발표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큰 호응이 일어나 국채보상운동은 활발히 전개되었다. 광문사는 국채보상운동에 전념하기 위해 대한매일신보 대구 지사의 사무를 다른 개인에게 넘겨 주었다. 김광제는 국채보상연합회의소 총무로 활동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전국 각지에 분립된 국채보상운동단체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의의와 평가

회사 내에 조직된 대동광문회와 함께 국채보상운동의 발원지였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수 있으나, 동아동문회와의 친목 도모를 표방하였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참고문헌

『제국주의와 언론』(구대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6)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에의 여성참여(女性參與)」(박용옥, 『사총(史叢)』 12·13합집, 1968)
「국채보상운동과 프레스캠페인」(최준, 『백산학보(白山學報)』 3, 1967)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대한자강회월보(大韓自强會月報)』 9(대한자강회, 19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