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회소 ()

덕수궁 흥천사명 동종 명문
덕수궁 흥천사명 동종 명문
불교
제도
조선 전기,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에 속한 승려의 인사와 승과(僧科) 시행 등을 담당한 기관.
이칭
이칭
선종 도회소, 교종 도회소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1424년(세종 6)
공포 시기
1424년
시행 시기
1424년
폐지 시기
1512년(중종 7)
시행처
예조
주관 부서
예조
내용 요약

도회소(都會所)는 조선 전기에 선종과 교종에 속한 승려의 인사와 승과 시행 등을 담당한 기관이다. 1424년 불교의 여러 종파를 선교양종(禪敎兩宗)으로 통합하면서, 승록사(僧錄司)를 폐지하는 대신 선종 도회소와 교종 도회소를 설치하였다. 선종 도회소는 서울 흥천사, 교종 도회소는 흥덕사에 설치하였고, 소속된 승려의 도첩 발급과 승과 시행, 지정된 사찰의 주지 임명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연산군 말년에 선교양종 도회소는 경기도 청계사로 옮겨졌고, 중종 대인 1512년에 선교양종과 도회소는 폐지되었다.

정의
조선 전기,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에 속한 승려의 인사와 승과(僧科) 시행 등을 담당한 기관.
설치 목적

도회소(都會所)는 1424년(세종 6) 불교의 7개 종파 중 조계종(曹溪宗), 천태종(天台宗), 총남종(摠南宗) 세 종파를 선종으로 묶고, 화엄종(華嚴宗), 자은종(慈恩宗), 중신종(中神宗), 시흥종(始興宗) 네 종파를 교종으로 통합하였다. 그러면서 그전까지 불교 사무를 관할하던 중앙 기관 승록사(僧錄司)를 대신해 선종과 교종의 행정과 승과(僧科)를 비롯한 승려들의 인사를 담당하는 기구로 선종 도회소와 교종 도회소를 설치하였다.

기능과 역할

선종 도회소와 교종 도회소는 각각 서울 흥천사(興天寺)흥덕사(興德寺)에 두었다. 도회소에는 행수장무(行首掌務)가 임명되어 소속된 승려들의 도첩을 발급하고, 승적을 관리했으며, 승과를 시행하는 일 등을 담당했다. 또한 상위 관청인 예조에 업무를 보고하도록 했다. 참고로 당시 승과의 선종 시험 교재는 『전등록(傳燈錄)』과 『선문염송(禪門拈頌)』이었고, 교종의 시험 교재는 『화엄경(華嚴經)』과 『십지론(十地論)』이었다.

선교양종 출범 당시인 세종 대에는, 선종 18개 사찰에 1,970명의 거주승과 4,250결의 주1, 교종 18개 사찰에는 1,800명의 거주승과 3,700결의 사전을 공식적으로 허용하였다. 이때 선종 도회소인 흥천사와 흥덕사는 각각 거주승 120명, 사전 250결을 허가받았다. 또한 승록사에 소속되었던 노비 384명을 선종과 교종의 도회소에 나누어 주었다.

변천사항

성종 초기에 반포된 『경국대전(經國大典)』에는 도승법과 선교양종, 승과에 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는데, 이는 조선 전기, 불교를 법제적으로 공인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연산군 대에 선종과 교종의 도회소가 경기도 광주의 청계사로 이전되었고, 정기적으로 시행되던 승과도 중단되었다. 결국 중종 대인 1512년(중종 7)에 선교양종 및 양종의 도회소가 폐지되면서 승정 체계는 막을 내렸고, 1516년(중종 11)에는 『경국대전』의 불교 관련 조항마저 사문화되었다.

이후 명종 대인 1550년(명종 5)에 수렴청정 중이던 문정왕후(文定王后)에 의해 선교양종이 다시 세워지고, 승과와 도승법이 재개되었다. 보우(普雨)가 선종의 판사(判事)로 임명되었으며, 도회소를 대신하는 선종 본사는 성종과 중종의 능인 주2 인근의 봉은사(奉恩寺)로 정해졌다. 교종의 판사로 수진(守眞)이 임명되었고, 교종 본사는 세조의 능인 주3봉선사(奉先寺)로 정해졌다. 하지만 문정왕후 사후인 1566년(명종 21)에 선교양종은 다시 폐지되어 더는 재개되지 못하였다.

의의 및 평가

조선 세종 대에 설치된 도회소는 기존의 불교 종파들을 선종과 교종, 양종으로 통합하면서 도첩, 승과 등 승려들의 인사 및 행정을 담당하던 기구이다. 이 기구는 승록사가 관할하던 시기에 비해 불교계의 자율성이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회소가 예조의 관할 하에 있었으며, 훗날 『경국대전』에 승려의 출가를 규정한 도승조(度僧條)가 실린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가 불교계를 통제하던 승정(僧政) 체계는 16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승정 체계는 고려와 조선 후기 사이에 발생한 과도기적 현상이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왕조실록』

단행본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1)
한우근, 『유교 정치와 불교-여말 선초 대 불교 시책』(일조각, 1993)
高橋亨, 『李朝佛敎』(寶文館, 1929)

논문

손성필, 「조선 시대 불교 정책의 실제-승정 체제, 사찰, 승도에 대한 정책의 성격과 변천-」(『한국문화』 83,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절이 소유하고 있는 밭. 우리말샘

주2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조선 성종과 계비 정현 왕후의 능인 선릉과 중종의 능인 정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적 정식 명칭은 ‘서울 선릉과 정릉’이다. 우리말샘

주3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조선 세조와 정희 왕후의 능. 부근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크낙새가 살고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남양주 광릉’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