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1395년(태조 4)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가 죽자 1396년 능지(陵地)를 정릉(貞陵)에 정하여 조영(造營)하고, 그 원당(願堂)으로 능 동쪽에 170여 칸의 절을 세워 흥천사라 칭하였으며, 조계종의 본산(本山)으로 삼았다. 초창기 이 절은 좌선(坐禪)을 하는 것으로 항규를 삼았다.
1398년 6월에는 왕명으로 3층 사리각과 사리탑을 절의 북쪽에 세웠고, 7월에는 우란분재(盂蘭盆齋)를, 8월에는 신덕왕후의 천도회(薦度會)를 베풀었다. 그러나 1403년(태종 3) 태종이 이 절의 노비와 밭의 양을 감하게 하였고, 1408년의정부의 건의에 따라 이 절을 화엄종(華嚴宗)에 귀속시키는 한편, 태평관(太平館)을 철거한 뒤 그 밭과 노비를 이 절에 이양하였다. 1410년 태조의 유지(遺旨)를 좇아 절을 수리하였고, 이듬해에는 사리각을 중수하였다.
1424년(세종 6) 이 절은 교종에 속하게 되었다. 1435년 사리각을 중수하였고, 1437년 왕명으로 이 절을 중수하였으며, 1440년 9월 대장경을 봉안하였다. 1441년 3월 이 절의 중수공사가 끝나자 5일 동안 경찬회(慶讚會)를 개최하였으며, 1443년 4월 회암사(檜巖寺) 주지로 있던 만우(卍雨)를 이 절에 머무르게 하였다. 또한, 1447년 안평대군(安平大君)을 시켜 사리각에 불골(佛骨)을 봉안하게 하였다.
1469년(예종 1) 명나라 왕과 왕후가 불번(佛幡)을 만들어 보냈으므로 이 절에 봉안하였다. 1480년 절을 다시 중수하였으며, 1504년(연산군 10) 내원당(內願堂)을 이 절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에 절이 불타고, 1510년(중종 5)에 사리각까지 불타 완전히 폐허가 되어버렸고, 그 땅을 탐내는 자도 많이 생겼다. 다만, 그때의 대종(大鐘)만은 덕수궁으로 옮겨져 지금까지 남아 있다. 1569년(선조 2) 왕명으로 함취정유지(含翠亭遺址)로 절을 옮겨 지었다.
1794년(정조 18) 이 절의 승려 성민(聖敏)·경신(敬信) 등의 발원으로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짓고 절 이름을 신흥사(神興寺)라 하였다. 그 뒤 1846년(헌종 12)구봉화상(九峰和尙)이 칠성각(七星閣)을 지었고, 1849년성혜(性慧)가 적조암(寂照庵)을 창건하였으며, 1853년(철종 4) 대웅전(지금의 極樂殿)을, 1855년 명부전(冥府殿)을, 1865년(고종 2) 대방과 요사채를 짓고 이름을 다시 흥천사라 하였다.
1885년에는 대방(大房)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堂宇)로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의 팔작지붕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명부전·용화전(龍華殿)·칠성각·독성각(獨聖閣)·만세루(萬歲樓)·승방(僧房)·대방·일주문(一柱門)·종각(鐘閣)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