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경 ()

불교
의례·행사
경전을 소리 내어 읽는 불교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전을 소리 내어 읽는 불교의식.
내용

간경(看經), 독송(讀誦)이라고도 한다. 독경의 유래는 난해한 한문경전을 되풀이하여 여러 번 소리 내어 읽음으로써 그 뜻을 명확하게 파악한다는 데서 출발하였으며 그 뒤 음성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차차 의식화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부터 이 의식이 행하여졌다. 구체적인 예로서 당나라 적산(赤山)에 있었던 신라 사찰 법화원(法華院)에서 행하여졌던 의식이 전해지고 있다.

먼저 의식의 시작을 알리는 종을 치면 모든 참여대중이 정좌를 한다. 한 승려가 일어나 종을 치면서 “일체공경례상주삼보(一切恭敬禮常住三寶)”를 창하면, 범패승(梵唄僧)이 범패로 양행게(兩行偈)를 창하게 되고, 모든 대중이 같은 음조로 『반야경』의 경제목을 수십 번 소리내어 송한다. 이어서 한 승려가 독경의 목적을 밝히고 독경을 시작하면 대중은 같은 음조로 경문을 소리 내어 외우게 된다. 독경이 끝나면 도사(導師)가 불보살의 명호(名號)를 선창하고, 대중들은 이를 받아 후창하도록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의식의 중심을 이루는 것은 경전에 대한 이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독경을 하는 음성과 음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음성과 음률이 중요시되는 까닭은 이를 통해서 중생을 교화한다는 신앙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독경의 음률이 중요시됨에 따라 범패(梵唄) 등의 불교음악도 크게 융성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범음집(梵音集)』·『작법귀감(作法龜鑑)』 등이 찬술되어 독경의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고, 의식의 음률화를 보다 심도 있게 정립하여 갔다. 이와 같이 독경의 음률화는 조선 후기의 불교음악과 범패의 성행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에도 사찰이나 독경모임 등에서는 『금강경』·『천수경』·『반야심경』·『법화경』·『아미타경』 등의 독송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참고문헌

『범음집(梵音集)』
『석문의범(釋門儀範)』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